“디지털로 전통시장 연결”…카카오, 전국 40곳 상권 지원 본격화
카카오가 디지털 역량을 활용해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활성화에 직접 나선다. 올해는 전국 단위로 지원 범위를 확대, 서울 성북구를 시작으로 최대 40개 전통시장과 상점가에 맞춤형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IT 기반 대기업과 소상공인, 지방정부 간 협력이 융합된 새로운 상생 모델로, 업계에서는 지역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분기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카카오는 서울 성북구 등과 협약을 맺고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을 4일부터 본격화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사회연대은행 등과 연계해 각각의 시·군·구 전체 단위 상권에 디지털 기반 지원을 집중한다. 올해부터는 단일 시장·상점가가 아닌 지역 통합지원 방식으로 구조를 전환, 상권 시너지를 극대화하면서도 지자체 및 현장과의 협업이 전례 없이 강화됐다.

사업 핵심은 오프라인-온라인 연계 맞춤 지원이다. 지난해 참여 기초(각 지역 주요 상권)에 디지털 1대 1 멘토링, 카카오톡 메시지발송, 카카오맵 실내지도, 카카오페이·카카오뱅크 금융 혜택 등을 이어간다. 여기에 라이브커머스 교육, 관광지 연계 셔틀 '단골버스', 청년 '디지털 서포터즈' 등 신규 디지털 프로그램을 도입, 상권별 특성에 따라 지원책을 다각화했다. 이를 통해 실제 매장·점포 주체들의 온라인 전환 및 고객 기반 확대가 동시에 가능해졌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IT 인프라와 현장 소상공인, 지방정부 간 연계 강화는 해외에서 이미 성공 선례로 평가받고 있다. 일본,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지역 상점의 디지털화 및 모바일 커머스 연동으로 매출 증대 효과가 검증됐다. 국내에서는 카카오가 본격적으로 전국 단위로 확장하는 첫 시도로 기록될 전망이다.
현장 데이터와 실효성, 상생 윤리를 고려해 기존 ‘시장 톡채널 지원사업’은 점포 단위에서 골목형 상점가 등으로도 혜택을 넓혔다. 사업 참여자들은 1대 1 재교육, 상시 마케팅 지원, 홈페이지 공모 방식 등을 통해 자발적 참여를 독려받는다. 카카오는 수수료 감면, 대출 보증료 지원 등 직접적 경제적 실익도 크게 유지했다.
정부와 기관 차원의 상생 프로그램 확장은 각 지자체의 지역 균형발전 전략과도 맞물린다. 개인정보 보호, 디지털 격차 해소, 오프라인 현장과의 실효적 연결 등 제도·윤리적 기준도 함께 검토되고 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IT-디지털 기술이 전통산업의 생산성과 지속가능성 문제를 동시에 풀 열쇠가 될 가능성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모델이 실질적 지역상권 경쟁력 회복에 성공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