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美 관세 요구 수용 땐 탄핵 당했을 것”…이재명, 한미 협상 중에도 강경 입장 시사
정치

“美 관세 요구 수용 땐 탄핵 당했을 것”…이재명, 한미 협상 중에도 강경 입장 시사

배진호 기자
입력

무역협상을 둘러싼 한미 양국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 측 요구에 쉽게 물러섰다면 “탄핵을 당했을 것”이라는 발언의 배경이 다시 조명됐다. 미 시사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나온 이 대통령의 발언은 협상 과정에서도 일관되게 표출돼 온 것으로 확인됐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9월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타임지 인터뷰 발언과 관련해 협상 과정에서도 유사한 입장이 표명됐다”고 전했다. 즉흥적 언급이 아니라 미국 측에 이미 같은 취지의 입장이 전달됐음을 강조하며 정책적 일관성을 내세웠다.  

이날 위성락 실장은 “이 대통령이 유리한 차원에서 협상을 끌고 가기 위한 전술적 의도에서 한 말은 아니다”라며 “솔직한 소회를 담았다”고 부연했다. 실제로 대통령실 안팎에선 미 관세 협상안의 국내 파장과 정치적 부담이 컸다는 점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강경한 대외 메시지가 사전 조율된 태도임을 재확인하는 분위기다.  

 

한편 위성락 실장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북한 비핵화를 추동하려면 상응 조치가 필요하다”며 제재 완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제재를 전면 해제하는 건 아니고 일부만 완화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밝히며, 이재명 대통령이 전날 타임지 인터뷰에서 언급한 ‘중단-감축-비핵화’ 단계적 접근과 맥을 같이했다.  

 

정치권에선 이재명 대통령의 거부 의사 표명이 대미 외교에서 자주적 노선을 강화한 것으로 평가하는가 하면, 한편으론 국내 정치 지형에서 논란을 부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등 여야는 협상 전략과 외교적 모험에 대해 상반된 시각을 보이고 있다. 여권은 강경 메시지가 미국과의 불필요한 마찰을 키웠다고 지적하는 반면, 야권은 자주 외교의 일환이라며 옹호 입장을 내놓았다.  

 

이후 한미 협상 전개 과정과 대북 제재 해제 논의의 향방이 정국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대통령실은 추가적인 외교 일정을 통해 관련 논의와 정책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배진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위성락#타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