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논의”…김민석 총리, 실현 가능한 수준 강조

최하윤 기자
입력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을 둘러싼 긴장과 정부의 책임론을 두고 김민석 국무총리와 경제·과학 부처 장관들이 회의를 가졌다. 파리협정 이행을 앞둔 상황에서 부문별 감축 목표 설정을 둘러싼 정부 내 논의가 한층 뜨거워지는 양상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일 오전 서울 국무총리공관에서 ‘3+알파(α) 회의’를 열고,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설정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회의에는 김 총리 외에도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등 정부 핵심 인사가 대거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각 부처와 그간 의견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책임 있고 실현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수준이 필요하다”며, 국제사회와의 약속과 국내 산업·경제의 현실 간 균형을 강조했다. 김민석 총리는 “부처 간 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목표 설정이 중요하다”고 밝히며, 각계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할 뜻을 시사했다.

 

파리기후변화협정에 따라 각국은 올해 안에 2035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현재까지 195개 당사국 중 60여 개국이 목표 제출을 완료했으며, 우리 정부도 구체안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9월 19일부터 총 6차례 대국민 공개 토론회가 진행됐으며, 관계부처 협의도 속도를 내고 있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또한 참석자들은 “부문별 영향과 산업계 현장 의견을 추가로 심층 분석한다”며, 향후 계획에 대한 논의도 병행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추가 검토 후 공청회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국무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감축 목표를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3+알파 회의는 국무총리의 내각 통할을 지원하기 위한 회의체로, 지난달 2일 출범한 이후 이날 두 번째로 열렸다. 정부 안팎에서는 실현 가능성과 국제사회 신뢰 확보라는 두 과제가 병존하는 만큼, 최종 목표 설정까지 치열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향후 부문별 영향 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공청회, 위원회 심의, 국무회의에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최하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온실가스감축목표#3+알파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