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 4000억 거래 의혹 소용돌이”…하이브 의장, 금융당국 고발 방침→검찰 수사 향방 촉각
하이브 방시혁 의장이 주식 사기 거래 혐의로 금융당국의 고발 방침을 받게 되면서 대형 기획사의 중심에 파도가 일고 있다. 금융위원회 산하 심의 기구가 방시혁 의장의 사모펀드 거래를 강력한 불공정 행위로 판단하고, 이를 검찰에 넘기겠다는 입장을 확정했다.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자본 시장을 가로지르는 거물이 오랜 의혹의 소용돌이 속에 이름을 올리며 업계는 긴장 속에 서 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일반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해를 입힌 중대한 증시 사기”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방시혁 의장은 하이브의 상장 전, 투자자와 벤처캐피털을 상대로 “기업공개 계획이 없다”고 말했지만, 정작 이 기간 동안 자신이 간접적으로 지분을 판 사모펀드는 상장에 따른 이득을 노리고 있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와 동시에 하이브는 기업공개를 위해 필수 절차인 지정 감사인 선임 등 상장 준비를 서둘렀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방시혁 의장은 거래의 결과로 4000억 원에 이르는 막대한 차익을 사모펀드와 나누는 계약까지 맺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같은 내용은 하이브 증권신고서에 전혀 공시되지 않았다. 만약 이익이 전액 인정될 경우 방 의장에게 최소 1조 2000억 원의 벌금, 그리고 무기징역까지 선고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사기적 부정거래는 투자자를 고의로 기망하거나, 시장 질서를 왜곡하는 불공정 행위로 간주된다. 자본시장법 178조에서 부정거래로 규정하는 범위에 신종 사기 수법까지 포함한다는 해석에 따라,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는 방시혁 의장의 거래가 시장 교란, 일반 투자자 손실, 조직적인 행태 등 복합적 사안이라고 결론 내렸다. 이로써 검찰 수사 방침이 방향을 잡게 됐다.
이에 대해 하이브는 “상장 과정은 법과 규정을 철저히 준수했으며, 금융당국 조사에 적극 협조 중이다.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절차의 적법성을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하이브 간부들까지 동원됐을 수 있다는 추가 진술에 대해 엔터 업계 역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건은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금융 시장 교란 행위를 중대 범죄로 간주하겠다 밝힌 이래, 주요 엔터 인사에 대한 첫 강경 조치라는 점에서도 이목이 쏠린다. 금융위원회 정례회의가 곧 열릴 예정이며, 이에 따라 방시혁 의장에 대한 최종 고발 여부와 검찰 수사가 공식화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