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사도광산 추도식, ‘강제성’ 표현 이견”…정부, 올해도 일본 행사 불참 결정
정치

“사도광산 추도식, ‘강제성’ 표현 이견”…정부, 올해도 일본 행사 불참 결정

신도현 기자
입력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을 둘러싼 강제노역 역사인식 갈등이 재점화됐다. 정부는 올해 일본이 주최하는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을 확정하고, 대신 자체 추도식을 추진하기로 했다. 미래지향적인 한일협력 분위기와 달리,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동 문제를 놓고 양국 간 입장 차가 다시 부각되는 양상이다.

 

정부 관계자는 9월 4일, 추도식 참석 논의와 관련해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불참 결정은 일본 측 추도사에 조선인 강제노역의 ‘강제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점을 문제로 지목한 결과다.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실질적인 역사인식 합의 도달이 어렵다는 배경을 설명했다.

협의 과정에서 일본은 강제성 표현을 둘러싼 여러 문안 제시를 시도했으나,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는 점이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한국인 노동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방향으로 온전하게 개최되도록 일본 측과 적극적으로 논의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일본 측에 불참 방침을 공식 통보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사도광산 추도식은 일본이 지난해 7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며 한국의 협조를 얻기 위한 약속의 산물로 추진됐다. 그러나 지난해 첫 추도식 당시에도 행사 명칭과 추도사, 행사 형식·내용 등 핵심현안에서 견해 차가 컸다. 이로 인해 2024년 11월24일 열린 첫 추도식에는 한국 유족과 정부 대표단이 모두 불참했고, 한국 측은 이튿날 별도 행사로 대응했다.

 

각 정당과 시민사회는 한일관계 개선이 의미 있으면서도, 역사문제만큼은 ‘원칙’을 강조해야 한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국내 보수진영에서는 실사구시적 접근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도, 일본의 태도 변화가 없다면 양국 미래협력에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진보진영에서는 “정부가 일본의 역사왜곡에 더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이 강하다. 전문가들 역시 “강제노역 문제에 대한 명확한 사죄와 반성 없이는, 한일관계의 신뢰회복 역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거듭 지적했다.

 

정부는 올해 일본 주최 추도식 참석이 불발된 만큼, 올 가을 중 사도섬 현지에서 별도의 자체 추도식을 거행할 계획이다. 행사 일정과 규모 등은 논의를 거쳐 확정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당시 일본이 약속한 취지를 존중하며, 합당한 형식과 내용의 추도식 개최라는 입장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정치권은 일본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 없이는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 역시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역사 인식 문제에 대해 일관된 입장으로 일본과 협의를 지속할 것”이라며, “한일 양국이 진정한 화해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올바른 역사인식과 피해자 존중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사도광산#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