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예방 효과 입증”…헬리코박터 제균, 70대 이상 고령층도 사망률 낮춰
위암의 주요 위험 인자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제균 치료가 70세 이상 고령층에서도 위암 예방과 사망률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대규모 국내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정윤숙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은 91만6438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2021년까지 평균 12.4~13.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고령층의 위암 발생과 사망 위험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는 대상자를 연령별로 세분화해 위암 표준화 발생비(SIR)와 표준화 사망비(SMR)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20대부터 70세 이상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제균 치료군이 일반 인구 대비 위암 발생률과 사망률이 유의하게 낮았다는 것이 주요 결과다. 특히 70대 이상에서는 위암 발생률이 52%, 사망률은 34% 각각 감소했다. 80세 이상 초고령층에서도 제균 치료 효과가 나타나, 나이가 많아도 치료가 실질적 도움이 된다는 근거를 제공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는 보통 젊은 환자를 우선 대상으로 권장돼 왔으나, 이번 연구는 연령에 관계없이 제균 치료가 위암 예방 및 생존율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정윤숙 교수는 "고령이라는 이유만으로 제균 치료를 제한할 필요는 없다"며, 보다 폭넓은 적용을 강조했다.
글로벌 소화기학계에서도 헬리코박터 감염 대응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번 대규모 실제 환자 코호트 분석은 아시아를 비롯한 고령 인구가 늘어나는 국가들에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미국과 유럽 몇몇 국가에서도 고령층 제균 치료의 비용효과 및 실제 임상 가치 논의가 진행 중이다.
정책적으로는 국내외 보건당국이 헬리코박터 감염 진단 및 치료 가이드라인을 개정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일본, 대만 등은 위암 고위험군 관리에 적극적으로 제균 치료를 도입해 효과를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실질적으로 위암 예방 중심의 국가 건강정책 및 보험 적용 확대 논의에 촉매가 될 것으로 평가한다. 산업계는 실제 시장에 해당 치료법이 빠르게 안착하고, 고령 인구의 건강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