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자율주행 AI 통합”…현대차 2028년 SDV, 인간 중심 기술 혁신→미래 시장 리더십
현대자동차가 2028년을 기점으로 자율주행과 대화형 인공지능(AI)을 통합한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의 대중화를 본격화한다.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5 자율주행 산업 콘퍼런스’에서 이경민 현대차 자율주행 SW개발2실 상무는 자사의 미래차 전략 청사진을 직접 공개하며 소프트웨어 경쟁력 제고에 박차를 가할 것임을 천명했다. 해당 전략은 단순한 주행 자동화 수준을 넘어, 운전자와 탑승자가 자연스럽게 대화하며 차량을 제어하는 플레오스(Pleos) 플랫폼, 아트리아 AI, 글레오 AI 등 통합 기술 적용에 방점이 찍혀 있다.
특히 현대차의 이번 발표는 단순한 자율주행 상용화의 차원을 넘어, 인간 중심의 사용자 경험을 자동차 속으로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것이 핵심이다. 내년 3분기 ‘아트리아 AI’ 기반의 자율주행 페이스카가 최초로 일반에 선보이며, 2027년에는 자율주행 레벨2+ 기술을 도입한 양산차가 개발될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은 AI 음성 어시스턴트를 통해 자연어로 목적지 설정·창문 조작·메시지 송수신 등 다양한 요구에 실시간 대응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글레오 AI는 좌석별 개인화 명령을 인식해 운전석과 동승석의 창문을 각각 제어하는 등 세밀한 맞춤화가 가능하다. 대형언어모델(LLM) 기법 적용으로 차량과 클라우드가 연동돼, 인포테인먼트에서 생활 환경 제어까지 일체가 실현된다.

이러한 혁신은 전기차 등 신 에너지차에 우선 적용될 전망이다. 현대차는 현재 자사의 음성 AI·자율주행 통합 기술을 전기차 이외의 차종에도 신속히 확대할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다. 한편, 코엑스와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한 ‘2025 자율주행모빌리티산업전(AME 2025)’에는 국내외 60여개 기관과 기업이 참가해 150개 부스 규모로 첨단 기술 경쟁을 펼치고 있다. 국산화율 90%를 달성한 무인 자율주행차 ‘로이’,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 기반의 로보택시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해법이 선보였고, 부대행사로 전문가 간담회와 대학생 대상 자율주행 경진대회도 열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행사를 통해 국내 자율주행 AI와 융합 소프트웨어 경쟁 기반이 한층 공고해질 것이라 내다봤다. 현대차 관계자는 “플레오스를 필두로 한 차세대 통합 플랫폼이 글로벌 자동차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