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설 수사 분수령”…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12시간 특검 조사
‘VIP 격노설’을 둘러싼 정치권 충돌이 본격화됐다. 윤석열 대통령실의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이 7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12시간 이상 소환 조사하면서, 정국의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과 김 전 사령관의 진술이 정면 충돌하며, VIP 격노 실체와 수사외압 여부를 둘러싼 정치적 파문이 커지고 있다.
김 전 해병대사령관은 당일 오전 10시 20분,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그는 오후 10시 30분께 귀가할 때까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관련 참고인 조사까지 함께 받았다. 김 전 사령관은 취재진의 ‘박정훈 대령에게 VIP 격노를 언급한 적이 있냐’는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VIP 격노설의 발단은 2023년 7월 31일.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실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다는 정황이 의혹으로 제기됐다. 박정훈 전 수사단장은 같은 날 오후 김 전 사령관이 자신을 사령관 집무실로 불러 윤 대통령의 격노를 직접 전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전 사령관은 VIP 언급을 부인해왔다.
공개된 통화기록에 따르면,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57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통화했고, 이어 오후 5시에는 임기훈 당시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 약 3분간 통화했다. 이에 따라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이 대통령실과 국방부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 VIP 격노 발언의 실체가 무엇인지 집중 추궁했다. 특히 박정훈 대령 이외 또 다른 해병대 간부의 진술 등도 조사 과정에 포함시키면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 단계에서 드러난 정황 증거들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 내에서는 김 전 사령관이 2023년 12월 전역 후 민간인 신분이 된 만큼, 이번에는 이전과 달리 의미 있는 진술을 내놓을지 주목하는 목소리도 커지는 분위기다. 다만, 특검 관계자는 “김 전 사령관의 진술 방향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의 추가 소환 방침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조사에서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와 관련한 참고인 조사도 병행됐다. 특히 임 전 사단장이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고 초기 김 전 사령관에게 “강둑이 무너져 사고가 발생했다”고 허위보고한 의혹, 수중수색 사실을 은폐하려 한 정황도 쟁점이 됐다.
정치권은 VIP 격노설과 대통령실 외압 의혹을 두고 치열한 진실 공방에 돌입한 분위기다. 특검팀의 다음 행보에 따라, 수사 결과가 윤석열 정부와 군 수뇌부, 국회 내 공방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특검은 김 전 사령관의 추가 소환 가능성을 밝히며, VIP 격노 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국민적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