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광복 80주년, 독립유공자 후손과 시민이 하나로”…서울공예박물관 ‘서명문 태극기’ 행사 진행
정치

“광복 80주년, 독립유공자 후손과 시민이 하나로”…서울공예박물관 ‘서명문 태극기’ 행사 진행

김서준 기자
입력

시민 참여 속에 독립유공자 후손과 역사 현장이 만났다. 서울공예박물관은 7월 16일 광복 80주년을 맞아 ‘시민 서명문 태극기’ 제작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광복회 소속 독립유공자 후손 40명과 사전 신청 시민 40명 등 80명이 한 자리에 모여 희망의 메시지를 적어 대형 조각보 태극기를 완성하는 행사다.

 

행사는 박물관 교육실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에서 제작되는 태극기는 1946년 한국광복군이 만든 ‘서명문 태극기’(독립기념관 소장)를 모티브로 삼았다. 전통 침선 기법이 활용되며, 서울시 무형문화재 침선장 이수자이자 대한민국명장(한복 부문)인 박춘화가 직접 제작을 맡는다. 완성된 4.5미터 곱하기 3미터 크기의 조각보 태극기는 18미터 곱하기 10미터 크기의 대형 현수막으로 재현돼 박물관 외벽에 전시된다.

서울공예박물관 측은 “광복 80주년을 뜻깊게 기념하면서, 시민과 독립유공자 후손이 함께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의 순간을 나누게 됐다”고 전했다. 행사에는 조국 독립과 문예 발전에 헌신한 역사의 흔적을 담는 동시에, 현대 공예의 가치를 재조명하려는 취지가 담겼다.

 

이어 7월 26일 박물관 강당에서는 ‘독립을 외친 공예가, 정인호와 장선희’를 주제로 한 특별 강의가 진행된다. 이날 강연에는 김성은 대구한의대 교수와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이 강연자로 참여해, 공예사에 큰 족적을 남긴 동시에 독립운동가로서 삶을 살아간 정인호 지사와 장선희 지사의 생애를 조명한다.

 

정치권과 문화예술계에서는 이번 행사가 광복 80년을 맞아 국가 정체성과 시민 통합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시민참여형 기념행사는 역사와 공예, 그리고 시민을 잇는 상징적 현장으로 남게 됐다.

 

서울공예박물관은 “프로그램 신청과 세부 정보는 박물관 누리집을 통해 안내된다”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정부와 정치권 차원에서도 역사교육 및 통합적 시민의식 고양을 위한 유사 행사 확산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울공예박물관#광복회#박춘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