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미국(USA) 고용지표 호조에 금융시장 기대감 확산
현지시각 3일, 미국(USA) 뉴욕증시에서 6월 고용지표가 전문가 전망치를 웃도는 호조를 기록하며 주요 주가지수들이 일제히 상승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은 모두 사상 최고치를 새로운 기록으로 갈아치우면서 경기둔화 우려가 완화된 시장 분위기를 반영했다.
현지 시간으로 3일 오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0.77% 오른 44,828.53에, S&P500은 0.83% 상승한 6,279.35, 나스닥 종합지수는 1.02% 오른 20,601.10에 각각 마감했다. S&P500과 나스닥 모두 기존 고점을 경신했다. 미국(USA)은 다음날인 4일 독립기념일 휴장을 앞두고, 이날은 조기 마감 등 특이한 일정을 소화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6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는 14만7천 명으로, 시장 전망치인 11만 명을 크게 상회했다. 실업률도 5월 4.2%에서 6월 4.1%로 금세 하락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과 관세에도 불구하고, 미국(USA) 노동시장이 견고함을 보여주면서 시장에서는 경기 연착륙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고용 호조 소식에 미국 채권금리는 오르고, 달러화도 강세를 보였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34%로 5bp, 2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3.89%로 9bp 각각 상승했다. 달러 인덱스 역시 97.11로 0.34% 올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달러 강세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 같은 변화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 시나리오에도 영향했다. 금리 선물시장은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95%로 높여 반영했다. 고용시장이 기대 이상임에 따라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은 크게 낮아진 상황이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들은 “고강도 노동시장 회복세에 투자자의 자신감이 반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CNN은 “미국(USA)의 지속적 고용 창출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일정 부분 해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미국(USA) 고용지표의 예상 밖 강세가 금융시장의 위험 선호를 자극하면서도, 인플레이션과 연준 정책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현장에서는 이번 발표가 당분간 미국(USA) 중심의 금융시장 상승 흐름을 이끌 것으로 보고 있지만, 향후 연준의 정책 기조 변화여부, 글로벌 경기상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양상이다.
국제사회는 이번 미국(USA) 고용 지표와 연준의 향후 스탠스가 글로벌 금융질서에 미칠 실질적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