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파치 36대 추가 도입 백지화 가시화”…유용원, 국방 정책 전환 강조
정치

“아파치 36대 추가 도입 백지화 가시화”…유용원, 국방 정책 전환 강조

이준서 기자
입력

대형공격헬기 아파치 36대 추가 도입 사업을 두고 국방 정책의 전환점이 마련되고 있다.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과 국방부는 올해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 예산 전액이 추경 과정에서 삭감됐다고 6일 밝혔다. 군의 기존 공격헬기 구상에 제동이 걸리며, 드론 등 유무인 복합체계로의 전략 전환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에서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 예산은 당초 100억원(2025년 본예산 기준)에서 3억원으로 대폭 조정됐다. 남은 예산 3억원 역시 다른 사업으로 전환돼, 실질적으로 올해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에는 예산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결과가 됐다.

유용원 의원은 이날 배포한 입장문에서 "아파치 추가 도입을 위한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은 지난 5월 합동참모회의에서 유무인 복합체계 등 대체 전력 검토를 결정한 바 있다"며 "추경에서도 예산이 전액 삭감돼 사업의 백지화 가능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미 육군조차 유지비가 비싼 구형 아파치 공격헬기를 조기 퇴역시키는 동시에, 그레이 이글 등 첨단 드론 전력으로 군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다"면서 "아파치 추가 도입의 전면 재검토는 군 전력 현대화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사업 예산 삭감을 계기로 군의 전력 기조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권 일각에선 유무인 복합체계 도입 논의가 확대되고, 전통적 공격헬기 중심의 무기 체계에서 점점 탈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현행 위협 환경에서 즉각적 대체 전력 확보까지의 공백 우려도 짚고 있다.

 

이날 국방부와 국회는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을 두고 사업 재검토·추진 방향 전환에 본격 착수하며 현장 공방이 이어졌다. 정부는 첨단 드론 등 신기술 기반 무기 전력화 방안을 본격 모색할 계획이다.

이준서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유용원의원#아파치#국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