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니들 패치, 비만약 새판 짜나”…대웅·대원제약, 생체이용률 경쟁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복약 편의성과 약물 흡수 효율을 동시에 높인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술이 혁신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마이크로니들은 길이 1mm 이하의 미세바늘로 피부에 패치를 붙여 약물을 통증 없이 체내에 전달한다. 주사 및 경구제의 복약 부담, 흡수율 한계, 폐기물 문제까지 보완하면서 미래 비만약 시장의 판도 변화를 예고한다. 업계는 이 기술의 상용화 여부가 글로벌 시장 선점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최근 대웅제약은 자회사 대웅테라퓨틱스가 자체 개발 기술 ‘클로팜’ 플랫폼을 통해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약물 흡수 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피하주사와 직접 비교해 패치 제형은 80% 이상의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보였고, 기존 경구제 대비 약 160배 높은 효율을 기록했다. 단일 패치에 고용량 약물을 탑재해 주 1회 투여도 가능함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기존 비만약 전달방식에 비해 치료 가능성과 환자 편의성이 눈에 띄게 향상된 것이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충분히 치료 효과를 낼 약물량 전달이 관건이었다”며 “이번 결과는 실제 치료제로 가는 중대한 진전”이라 분석했다.

마이크로니들 방식은 주사 공포극복, 자가 투약 용이성뿐 아니라 의료폐기물 감축, 냉장유통 필요성 감소 등 친환경성도 부각되고 있다. 이런 특성은 소아·청소년 및 고령 환자, 주사제 사용에 불편을 느끼는 집단에서 특히 실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경쟁 구도 역시 치열하다. 대원제약과 라파스는 노보노디스크의 비만치료 주사제 ‘위고비’를 적용해 마이크로니들 패치 ‘DW-1022’ 개발에 나섰다. 30명 대상 임상 1상에서 약 30%의 생체이용률을 달성, 경구제 대비 60배 이상 약물 흡수율을 기록했다. 동아에스티도 마이크로니들 업체 주빅과 당뇨·비만 치료제 공동 연구에 돌입하며 국내외 기술 경쟁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글로벌 제약사들도 미국과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마이크로니들 방식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FDA를 비롯한 각국 규제기관은 ‘패치형 저분자 의약품’의 안전성 검증과 관련 통제를 강화하고 있어, 임상효과 입증과 제도 진입장벽 극복이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마이크로니들 기반 약물전달 기술의 상용화는 글로벌 비만약 시장의 경쟁 프레임을 바꿀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산업계는 신기술이 실제 시장 규모를 키우고 환자 맞춤형 치료옵션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