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 서울서 만날까”…시진핑 국빈 방한·양자회담 급물살
한중 정상회담을 두고 각국 외교 당국의 전략 구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과 맞물려 서울에서 이재명 대통령과의 양자 정상회담이 추진되며, 방한 방식과 시기가 정가의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19일 외교부는 “정부는 시 주석의 경주 APEC 정상회의 참석 계기 양자 방한을 중국 측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공식 입장은 한중 양국 사이에 국빈 방문 형식의 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앞서 2014년 박근혜 정부 시기 이후 11년 만에 이뤄지는 국빈 방한으로 실제 실현될지 외교가가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정부는 다자 협의체인 APEC 정상회의가 경주에서 열리는 점을 고려, 회담 형식과 장소에 대한 협의를 병행 중이다. 경주 내 시설과 시설 규모 측면에서 약식 회담은 가능하지만 국빈 방문에 적합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양자 정상회담은 서울에서 개최될 가능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외교부는 정상회담 개최 시점에 대해서도 “APEC 정상회의보다 앞서 열릴지, 종료 후 이어서 할지 등 세부 일정과 방식을 중국 측과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 내에서는 조기 개최론도 거론되지만, 준비 일정에 따라 막바지 조정 국면에 돌입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왕이 외교부장과의 회담 종료 이후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참석하게 되면 양자 방문도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 측 왕 부장은 정상회담 실무를 조율하기 위해 시 주석의 방한 전 한국 방문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 내외에서는 한중 정상회담 성사 여부가 향후 동북아 외교 지형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양국간 신뢰 회복과 경제·안보 협력 가능성을 두고 긍정적 기대와 신중론이 교차하는 분위기다.
이날 한중 정상회담 논의는 향후 정확한 일정 확정과 의제 선정 과정을 거쳐 양국 최고지도자 간 담판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외교부는 “구체 사안은 지속 협의 중에 있다”면서 “추후 일정과 세부사항이 조율되는 대로 발표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