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국 본토 정조준 다탄두 ICBM 겨냥”…김정은, 화성-20형 신형 엔진 개발 전격 추진
정치

“미국 본토 정조준 다탄두 ICBM 겨냥”…김정은, 화성-20형 신형 엔진 개발 전격 추진

윤찬우 기자
입력

미국 본토를 위협할 수 있는 다탄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목표로 북한이 신형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한 ‘화성-20형’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을 위해 출국하기 직전, ICBM 개발 현장을 방문해 새로운 대출력 엔진과 탄소섬유 복합재 생산 공정을 직접 점검했다고 2일 전했다. 

 

북한은 “신형 고체 발동기의 최대 추진력은 1천960kN에 달하며, 이는 현재 최대 기종인 화성포-19형을 뛰어넘는 차세대 ICBM ‘화성포-20형’에도 적용될 예정”이라 밝혔다. 작년 10월 31일 시험발사된 화성-19형도 이미 미 본토 타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으나, 북한은 추진력을 더욱 높인 엔진 적용을 공식화하며 다탄두 능력 강화에 노골적으로 나서고 있다.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북한이 2022년 12월 고체연료 엔진 첫 지상분출시험에서 확보한 140tf(톤포스) 추력이 화성-18형, 19형에 쓰인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에 공개된 1천960kN(약 200tf)은 기존에 비해 40% 이상 추력이 증대된 수치”라고 해석했다. 그는 “추력이 커지면 다탄두 탑재가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미사일 추진체 구조도 2단까지 단순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군사전문기자 출신) 또한 “북한의 대출력 고체 연료 엔진 개발은 다탄두 ICBM 확보가 명확한 목적”이라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이미 지난해 북한이 평양 무기 전시회에서 다탄두를 탑재한 화성-19형 구조도를 공개한 점을 들어, MIRV(각개 목표 설정 재돌입체) 개발이 가시화됐다고 평가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신형 ICBM 계획을 베이징 출국 직전에 공개한 것 역시 정치적 함의가 적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 의원은 “중국에서 열리는 북·중·러 정상급 행보 직전 ICBM 개발을 공식화한 것은 미국을 겨냥한 전략 연대 행보임을 강조한 것”이라며, “탄소섬유 소재 자체 개발 성공을 선언한 점에 비춰 러시아로부터 원료 및 핵심 기술에 대한 직접적 지원을 받았을 가능성도 농후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북한의 신형 ICBM 추진 행보는 미국과 동맹국에 새로운 안보 위협 신호를 던지며 한반도 긴장 수위를 높이고 있다. 군 당국도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북·러, 북·중 간 기술 협력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북중러 간 군사 기술 유착 움직임과 북한의 ICBM 다탄두화 진전에 대한 추가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대응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윤찬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정은#화성20형#유용원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