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다발 띠지 분실, 지휘라인도 수사선상”…대검, 남부지검 강제수사 착수
서울남부지검의 ‘돈다발 띠지 분실’ 사건과 관련해 대검찰청이 본격적인 강제수사에 나서며, 사건의 전모와 책임 소재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대검 조사팀은 돈다발 띠지 분실에 연루된 남부지검 소속 수사관 2명의 자택과 사무실을 8월 22일 압수수색하고,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해당 수사는 이들을 전날 입건하고 정식 수사에 착수한 지 하루 만에 강도 높게 진행된 것이다.
대검 조사팀은 확보한 증거물을 바탕으로 띠지 폐기 과정에서 상부 지휘라인이 개입했는지, 사건 보고 및 대응 과정에 문제가 있었는지 집중적으로 살필 계획이다. 수사 대상에는 당시 서울남부지검을 이끌었던 신응석 전 검사장이 포함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 전 검사장은 이미 퇴직한 상황이다. 또한 남부지검이 띠지 분실 사실을 감찰 계통에 정식 보고하지 않은 이유도 혐의점에 포함된다.

이번 사안은 지난해 12월, 서울남부지검이 ‘건진법사’ 전성배 씨의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비롯됐다. 당시는 총 1억6500만 원 상당의 현금다발을 검찰이 확보했는데, 이 중 5000만 원은 한국은행에서 신권으로 밀봉된 관봉권이었다. 그러나 관봉권의 검수 날짜, 담당자, 부서 등이 적힌 띠지와 스티커가 사라지면서, 현금의 출처를 추적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미국적 중요성을 반영해, 사건은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으로 넘어갔다.
남부지검 측은 “직원이 현금을 계수하면서 띠지를 잃어버렸다”고 해명했으나, 현금 관리와 보고 체계의 허술함에 대한 비판은 거세졌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8월 19일, 남부지검의 대응에 문제를 제기하며 진상 규명과 책임자를 밝힐 것을 감찰부에 지시했다. 이어서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도 즉각 감찰부 감찰 착수를 명령하면서 대검 조사팀이 꾸려졌다.
돈다발 띠지 분실 사건은 김건희 여사 선물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전성배 씨와도 연결된다. 전 씨는 2022년 4~8월, 통일교로부터 다이아몬드 목걸이 등 고가의 선물과 현안을 대가로 한 청탁을 받은 혐의로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수사를 받고 있다.
사회 일각에서는 “기본적인 증거 관리조차 지켜지지 않는 구조적 한계”를 문제 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시민단체 역시 “검찰 스스로의 기강 해이와 책임 회피”를 비판하며, “투명한 전모 공개와 제도 개선”을 강하게 촉구하고 있다.
대검 조사팀은 모은 자료를 토대로 상부의 개입과 보고 누락 등 전 과정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예고하고 있다. 이번 강제수사를 통해 ‘돈다발 띠지 분실’ 사건의 본질적 문제가 규명될 수 있을지, 검찰 수사 관행에 대한 후속 대책 마련 요구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