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다음 주 조태열·이노공 피의자 소환”…이명현 해병특검, 10월 윤석열 조사 시사
정치

“다음 주 조태열·이노공 피의자 소환”…이명현 해병특검, 10월 윤석열 조사 시사

한유빈 기자
입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대사 도피 의혹’을 둘러싼 해병특검 수사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명현 특별검사가 주요 연루자인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과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등 핵심 인사들을 다음 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한다. 여야는 출국금지 해제 경위, 외압 의혹을 둘러싸고 정면으로 충돌하는 양상이다.

 

정민영 순직해병 특별검사팀 특검보는 1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호주대사 임명 및 출국 과정에 연루된 핵심 피의자 조사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22일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시작으로, 23일 이노공 전 차관, 24일 조태열 전 장관을 차례로 소환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인사들은 지난해 채상병 순직사건 관련 군 수사에 외압을 행사했던 핵심자로, 이종섭 전 장관을 호주대사로 긴급 임명해 출국하도록 도운 혐의로 고발된 상태다. 특검은 외교부, 법무부 등에서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자료를 중심으로 고위급 인사 검증 절차 및 출국 경위를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이종섭 전 장관은 작년 3월 정부의 출국금지 해제 결정으로 8일 만에 호주대사로 출국했다가 여론 악화와 함께 11일 만에 귀국, 대사직을 사임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도피성 출국” 의혹의 당사자인 이 전 장관을 지난 17일 참고인 신분으로 12시간 가까이 조사했다고 알렸다. 조사가 끝난 뒤 이 전 장관은 “도피라고 보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망상이라고 생각한다”며 혐의를 강하게 부인했다.

 

한편,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 조사 여부에 대해 특검팀은 “아직 일정이 논의되지 않았으나, 피고발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게 수사팀 입장”이라고 밝혔다. 수사 실적이 저조하다는 일각의 비판에 대해 정 특검보는 “법이 개정돼 11월 말까지 수사가 가능하다”며 수사에는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10월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 조사도 할 계획”이라며 “중간 결론을 제시할 시점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특검은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5번째로 소환해 직권남용·모해위증 혐의와 ‘대통령 격노 인지 경위’, ‘박정훈 대령에 대한 이첩 보류 요청’ 등 주요 쟁점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김 전 사령관은 조사실 입장 전 별도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정치권은 이종섭 전 장관 ‘도피’ 논란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특검팀은 내달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 방침을 재확인하면서도, 핵심 인사들에 대한 소환을 착실히 추진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명현특검#조태열#이종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