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폄훼 중단 촉구”…내란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변호인단 주장 정면 반박
내란 및 외환 혐의로 구속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둘러싸고 수사 방식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21일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이 제기한 “특검의 망신 주기”, “일방적 조사 일정 통보” 주장을 강하게 비판하고, 사실관계 왜곡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관련 근거를 조목조목 열거하며 수사 폄훼에 선을 긋는 행보를 보였다.
박지영 특검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측에서 주장한 ‘서면조사 요청’, ‘제3의 장소 조사’, ‘조사 일정 협의’는 실제로 특검에 요청된 바 없다”고 밝혔다. 또한 “변호인단 입장이라는 명목으로 사실과 다른 주장이 반복적으로 전파되는 것은 지양돼야 한다”고 경고했다.

특검팀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10일 구속된 이후 수차례의 대면 조사 및 강제 구인 시도에도 불출석을 고수했고, 이에 따라 지난 19일 추가 조사 없이 기소 절차가 진행됐다. 이후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특검이 정한 일시와 장소만 고집했다”, “수의를 입은 채 조사를 강요하며 망신 주기를 시도했다”는 입장문을 내고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특검팀은 “현행법상 미결수용자는 조사에 참여할 때 사복 착용이 가능하다”며 “요구하지도 않은 사복 대신 수의를 입히고 망신 주려 한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거듭 반박했다. 아울러 변호인단이 “군 기밀 유출”, “내각 전원 피의자 소환” 등 허위 사실을 퍼뜨리며, “망나니·칼춤”처럼 모욕적 언사를 사용하는 것을 두고도 “특검 수사 신뢰를 저해한다”고 우려의 뜻을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특검팀-윤 전 대통령 측의 신경전이 한층 고조되는 분위기다. 여당 일각에서는 법 절차 엄정 준수 필요성을 강조하며 특검팀 입장에 힘을 실었고, 일부 야권 인사들은 “전직 대통령 예우 또한 중요하다”고 맞섰다. 법조계에서는 “조사 절차와 인권 보장 모두 철저해야 한다”는 의견이 교차하고 있다.
한편, 특검 수사는 내란 및 외환 혐의를 둘러싼 정국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측이 추가 법리 대응을 예고한 가운데, 정치권과 사회 각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는 향후 관련 절차 진행에 따라 여론 수렴과 법적 심리 강화를 동시에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