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구글 지도 공백 노린다”…네이버, 외국인 관광 필수앱 전략 강화
경제

“구글 지도 공백 노린다”…네이버, 외국인 관광 필수앱 전략 강화

배진호 기자
입력

네이버가 외국인 관광객을 겨냥한 다국어 정보 서비스 ‘비로컬’ 캠페인을 본격화했다. 구글 지도 서비스의 길찾기 제한이라는 국내 시장의 특수성을 활용해, 방한 외국인들이 꼭 써야 할 ‘필수앱’으로 자리잡겠다는 전략에 힘이 실리고 있다.  

 

네이버와 한국관광공사는 9월 17일부터 ‘비로컬’ 캠페인을 통해 국내 음식점과 카페, 쇼핑, 복합문화공간 등 주요 명소 정보를 영어 등 다양한 언어로 제공한다고 19일 밝혔다. 이용자는 네이버지도 앱을 외국어로 설정 시 상단 ‘비로컬’ 탭에서 2030세대 한국인이 많이 찾는 명소와 할인 쿠폰, 고속버스·렌터카 할인 등 실질적 편의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존 서울 도심 중심이던 서비스는 올 하반기부터 부산과 경주 등 국제행사가 예정된 지역까지 확대됐다.  

출처=네이버
출처=네이버

상반기 서울 명동, 성수, 이태원 등에서 시범 도입된 ‘비로컬’ 서비스는 특히 20대 초반 외국인 이용자에게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 네이버는 2018년 다국어 지도를 처음 선보인 후 외국인 대상 기능을 꾸준히 강화해왔다. 지난해부턴 예약 및 결제 시스템도 다국어로 지원하고, 2024년 6월부터는 간편 본인인증까지 도입했다.  

 

네이버의 적극적인 외국인 관광객 공략 배경에는 구글 지도 서비스의 국내 한계가 있다. 구글은 한국 정부가 지도 반출을 제한하면서 국내에서 길찾기 등 일부 기능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네이버는 자체 정보·리뷰·실시간 업데이트 등 방대한 데이터와 편의기능을 앞세워, 구글 지도 대신 방한 관광객의 이동 및 정보 탐색 수요를 흡수하겠다는 복안이다.  

 

최승락 네이버 플레이스 부문장은 “네이버지도는 앱 하나로 한국의 트렌디한 로컬 문화를 경험하고, 이동 자체도 쉬운 외국인 관광 필수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전문가들 역시 “구글 길찾기 제한이 오히려 토종 서비스 확장 기회가 될 수 있으며, 외국인 맞춤 서비스 제공을 통한 관광산업 파급력도 기대된다”고 해석했다.  

 

네이버의 이 같은 전략이 실제 외국인 관광시장 점유율 확대와 연계될 수 있을지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향후 정책 및 규제 변화에 따라 경쟁 구도가 한층 가속될 전망이다.

배진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네이버#구글지도#비로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