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보안이 국가 보안 인프라로”…과기정통부, 2030년 하이브리드 모델 추진
양자보안 기술이 국가 핵심 인프라 보호를 위한 새로운 보안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30년까지 행정, 통신, 국방, 의료 등 국가 핵심 시설에 양자보안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보안 모델 구축을 추진한다. 최근 급속히 고도화되는 양자컴퓨터 및 사이버 공격에 따라 기존 암호체계의 한계가 노출되고 있어, 양자내성암호(PQC)와 양자암호통신(QKD) 등 신기술 기반의 미래 보안 패러다임 전환이 산업 전반의 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제2차관은 3일 국민대학교에서 양자보안 산·학·연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양자보안 기술의 현장 확산과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삼성SDS가 양자내성암호 개발 현황을, 지큐티코리아가 양자암호통신 기술 동향을 각각 공유했으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사들도 자사의 양자보안 기술개발과 서비스 전략을 발표했다. 국민대학교는 국내 대학 최초로 양자캠퍼스를 조성했으며, 양자보안 기반 차량 원격 제어, 스마트폰-CCTV 응용 장비(qSIM) 연동 등 실제 적용 사례를 시연했다.

양자내성암호는 초고속 양자컴퓨터 시대에도 쉽게 해독되지 않는 암호 체계로, 기존 보안 인프라의 근본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양자암호통신은 전송 신호 단위인 큐비트(양자비트)를 이용해 도청 자체가 불가능한 통신 기술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존 단일 암호 요소 중심에서 다양한 보안 기술을 통합·확장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방향이 제시됐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유럽, 중국이 국가 단위 양자보안 인프라 투자를 앞다퉈 확대하고 있다.
산업계 관계자와 전문가들은 "양자보안이 단순한 기술 교체가 아니라 국가 안보와 산업 경쟁력의 기초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조속한 시범 적용과 산업계의 실제 체감 성과 창출, 인재 양성·표준화 선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양자보안 시범사업 확대, 양자암호통신 테스트베드 구축, 전문기업과 인재 육성 등 정책·제도 패키지 마련을 공식화했다.
향후 산업계는 양자보안 기술이 실제 국가 인프라 보안표준으로 안착하는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 복잡성과 비용, 국제 표준화 경쟁 등 다양한 도전 과제도 남아있어, "기술과 정책, 산업 구조 간 균형 있는 성장이 필요하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