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D램·OLED 부문 정상 유지”…한국, 글로벌 IT 시장 점유율 4개 분야 1위
국제

“D램·OLED 부문 정상 유지”…한국, 글로벌 IT 시장 점유율 4개 분야 1위

송우진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9월 1일, 일본(Japan)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공개한 2024년 세계 시장 점유율 조사에서 한국(Korea) 기업이 D램 반도체와 OLED 패널, 낸드 플래시, 초박형 TV 등 4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는 글로벌 기술 및 공급망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주요국 시장 우위 현황을 보여주는 조사로, 국제 사회의 산업 재편과 강국 간 경쟁 구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지 시간 1일 닛케이에 따르면, 한국의 4개 1위 부문은 모두 삼성전자 중심으로 견고한 시장 지배력을 유지했다. D램 반도체에서 삼성전자가 41.1%의 점유율로 1위에 올랐으며, SK하이닉스가 33.8%로 2위를 기록했다. OLED 패널 역시 삼성전자가 41.7%로 선두 자리를 지켰고, LG디스플레이가 23.8%로 뒤를 이었다. 낸드 플래시에서는 삼성전자(34.8%), SK하이닉스(21.3%) 순으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초박형 TV 분야에서도 삼성전자(16.3%)와 LG전자(14.6%)가 1·2위에 이름을 올렸다.

삼성전자 로고 / 연합뉴스
삼성전자 로고 / 연합뉴스

한국 기업이 1위를 기록한 분야 수는 미국(USA) 27개, 중국(China) 18개, 일본 9개에 이어 세계 4위 수준이다. 미국은 2023년보다, 중국도 각각 1개씩 1위 품목이 늘어난 반면, 일본은 소폭 감소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암 치료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기술 등 6개 분야에서 세계 1위 업체에 변동이 생긴 점도 주목된다.

 

이와 함께 닛케이는 미·중 디커플링(공급망 분리) 등 각국의 기술 및 무역 규제 영향이 점유율 변화에 반영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실제로 중국 주요 산업 분야의 글로벌 점유율이 감소세를 보였다. 예를 들어, 중국의 감시카메라 세계 점유율은 2023년 52.5%에서 2024년 49.9%로 2.6%포인트 하락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가정용 에어컨 등에서도 중국 기업 점유율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닛케이는 미국이 규제를 가한 핵심 첨단제품 품목에서 중국 업계 타격이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경쟁력 저하 배경에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대외 규제 강화 등 복합적 요인이 자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기차·스마트폰 등 일부 핵심 영역에서는 중국 기업이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CNN 등 주요 글로벌 미디어는 “정부 주도의 공급망 재편과 첨단기술 패권 경쟁이 각국 점유율 지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미중 간 기술 갈등, 보호무역 강화로 글로벌 IT 시장 내 국가별 격차와 산업 간 재편 가능성도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메모리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일부 IT 분야에서 압도적 선두를 이어가는 한편, 미·중 분쟁에 따른 공급망 변화와 각국의 산업정책이 향후 시장 판도를 좌우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국제사회는 글로벌 핵심 기술 분야를 둘러싼 경쟁 구도가 앞으로 어떤 변화를 맞이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전자#미국#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