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한방 비자금 수사 칼끝, 尹 전 대통령 인수위·김건희 동행 의혹까지”…특검, 90억 자금 흐름 파헤친다
김건희 여사와 자생한방병원, 그리고 윤석열 전 대통령 측 사이 ‘비자금·사적 동행’ 의혹이 본격적으로 수사선상에 올랐다. 특검팀이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의 배우자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하면서 정치권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29일 특별검사 민중기팀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횡령 및 배임 혐의를 적용, 자생한방병원 설립자 신준식 명예이사장의 차녀이자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 배우자인 신모씨를 소환했다. 특검은 신씨가 대표를 지낸 자생바이오와 가족회사 제이에스디원 등 계열사를 거쳐 조성된 100억원대 비자금 의혹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자생바이오는 2020년부터 2년간 제이에스디원으로부터 90억원을 장기 대여받은 뒤, 청산 과정에서 빌려준 돈을 사실상 손실 처리했다. 특검은 이 자금의 불투명한 흐름이 대선자금으로 연계된 정황 여부까지 들여다보는 중이다.

특검팀은 2021년 6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자생바이오에서 유출된 자금 90억원 중 60억원이 집중적으로 대여된 시기와, 신씨 및 모친이 윤 전 대통령에게 대선 후원금 2천만원을 낸 사실 모두 정밀 분석하고 있다. 또한 2022년 3월 대선 직후, 서울 논현동 자생한방병원 인근 건물 1층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무실로 사용된 배경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만약 인수위가 임대료를 정상 지급하지 않았다면 정치자금법 위반이나 뇌물 수수 가능성도 거론된다. 자생한방병원 측은 "정식 임대차 계약과 시세 임대료를 지켰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이번 수사 대상자 신씨 부부와 윤 전 대통령의 오랜 인연도 쟁점으로 부상했다. 이 전 비서관은 검찰 재직 시절부터 대표적인 ‘친윤’ 검사로 분류됐으며, 2022년 대선 당시 윤석열 캠프 법률지원팀에서 활동했다. 두 사람의 결혼 역시 윤 전 대통령의 소개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이 전 비서관이 지난해 4월 총선 국민의힘 후보 공천에서 전략적 이득을 봤다는 의혹 또한 특검의 관심사다.
또 다른 쟁점은 신씨의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대통령 전용기(공군 1호기) 탑승과 김건희 여사 사적수행 논란이다. 신씨는 2022년 6월 스페인 순방 때 공식 직책 없이 기타 수행원 명목으로 관용여권을 발급받아 대통령 동선에 동행했다. 이에 여권법 위반 및 비선 논란이 불거졌으며, 정치권에서는 “신씨가 김 여사를 개인적으로 보좌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관용여권은 공무원 또는 공무수행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해 발급 가능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특검은 신씨가 관용여권을 발급받은 과정, 그리고 대통령 전용기 탑승에 필요한 허가와 배경을 확인하기 위해 외교부로부터 자료를 확보했다.
정치권 내부에서는 여야 모두 특검 수사 결과를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민의힘은 “정치적 의도에 휘둘리지 않는 사실 규명”을 주문했고, 더불어민주당은 “권력형 비리의 실태가 드러날 것”이라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일부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정치적 유착 및 대선자금 흐름 의혹의 명확한 규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검팀이 비자금 조성과 대선자금 사용 정황, 인수위 사무실 무상 제공, 1호기 사적 수행 등 일련의 의혹을 넘나들며 강도 높게 수사에 돌입하면서, 파장이 정국 전반으로 확산될 조짐이다. 정치권은 이번 조사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둘러싼 의혹들이 얼마나 해소될지 주목하고 있다. 특검은 관련자 추가 소환 등 추가 조사를 이어갈 예정이며, 국회도 특검 결과와 연계된 정치적 쟁점에 본격 대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