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혈액 진단과 차세대 약물”…알츠하이머 신약 혁신 동력 부상
IT/바이오

“혈액 진단과 차세대 약물”…알츠하이머 신약 혁신 동력 부상

배주영 기자
입력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개발 현장에서 혈액 기반 진단법의 도입과 신기전 치료제의 부상이 새로운 전환점으로 주목되고 있다. 난공불락으로 여겨졌던 알츠하이머 신약 개발은 10여 년 만에 항-아밀로이드 항체 치료제 ‘레켐비(레카네맙)’와 ‘키순라(도나네맙)’의 등장으로 진일보했다. 미국 의약품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가 22일 공개한 ‘중추신경계 새로운 지평 보고서’에 따르면, 두 치료제는 임상에서 각각 인지 저하 속도를 27%, 39% 늦추는 효과를 보였으나, 기억력 회복 등 근본 치료에는 여전히 한계가 남아있다.

 

항-아밀로이드 항체 치료제 매출의 99%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다. 유럽 등은 안전성 우려로 사용을 제한하는 분위기다. 기존의 진단 방식은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 뇌척수액(CSF) 검사 등 고비용·고침습적 방법이 대부분이어 접근성·확장성에 제약이 크다. 보고서는 “혈액검사는 침습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패러다임의 기반”이라며, 증상 발현 전 환자를 조기에 선별, 집단 스크리닝까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차세대 치료제의 핵심은 타우, 시냅스 가소성, 신경보호, 염증 및 면역 등 다양한 기전을 표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로슈의 트론티네맙은 혈뇌장벽(BBB) 투과율을 높인 이중 특이성 항체 기술을 적용, 2상 임상에서 기존 약물 대비 우월한 아밀로이드 플라크(뇌 내 단백질 찌꺼기) 제거와 낮은 안전성 이슈(ARIA) 발생률을 보였다.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는 신경퇴행성 질환에 비만·당뇨 치료에 쓰이던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작용제도 주목받고 있다. 실제 미국 실사용 데이터(RWD) 분석에서 세마글루타이드가 2형 당뇨 환자의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을 40~70%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는 혈액 진단법이 보험 등재와 사회적 합의, 신경계 신약의 안전성 이슈 해소 등이 실제 임상 적용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로 보고 있다. 미국 FDA 등 글로벌 규제 당국은 ARIA 등 부작용 모니터링을 의무화하며, 후속 임상을 통해 약물 효능 및 위험도 재평가에 집중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혈액 기반 진단과 새로운 기전 치료제 개발이 알츠하이머 극복의 핵심 축이 될 것”이라며 “기술의 실제 의료현장 안착에 따라 시장 구조가 재편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배주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알츠하이머#혈액진단#차세대치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