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촉각”…이재명 대통령 공약·내수대책과 맞물려
사회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촉각”…이재명 대통령 공약·내수대책과 맞물려

신채원 기자
입력

오는 10월 10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지 여부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과거 대선 공약에서 주 4.5일제와 국민 휴식권 강화를 강조한 데 이어, 최근에도 긴 연휴를 활용한 내수 활성화 대책 마련을 지시했기 때문이다.  

 

이미 개천절(10월 3일)과 추석 연휴(10월 5~7일), 대체공휴일(10월 8일), 한글날(10월 9일) 등으로 7일간의 연휴가 예정돼 있다. 정부가 10월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고, 이어지는 주말(10월 11~12일)까지 합치면 최대 10일간의 ‘황금연휴’가 현실화될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 /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 연합뉴스

임시공휴일 결정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국무회의 의결과 대통령 재가를 거쳐 확정된다. 통상 결정까지 2주 이상의 시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연휴를 앞둔 9월 26일까지 정부 공식 발표가 있을지 주목된다.  

 

반면, 기획재정부는 공식적으로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은 검토한 바 없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임시공휴일이 아니더라도 재량휴업일을 활용해 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과거에도 경제 활성화, 내수 진작, 국민 휴식 보장 등을 목적으로 임시공휴일을 지정해 왔다. 다만 올해 1월에는 내수 진작 효과가 크지 않다는 이유로 임시공휴일에 소극적 입장을 밝혀왔다. 그러나 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으로 소비 증진 성과가 나타나고, 2차 쿠폰 신청도 예정돼 있어 관련 논의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대규모 할인행사,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등 내수 대책과 연계된 임시공휴일 지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부의 최종 결정까지는 추가 검토가 이뤄질 전망이다.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와 별개로, 학교 재량휴업일 등 실질적 연휴 확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당국의 입장과 정책 변화가 주목된다. 10월 10일이 올해 ‘초대형 연휴’가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임시공휴일#내수진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