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대전 우주 인재양성센터 93억 증액”…황정아, 대한민국 우주강국 도약 발판 강조
정치

“대전 우주 인재양성센터 93억 증액”…황정아, 대한민국 우주강국 도약 발판 강조

권혁준 기자
입력

우주산업 인력양성 예산안 증액을 두고 정치권의 노력과 갈등이 엇갈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국회의원(대전 유성을)은 8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 구축 사업비가 당초 347억5천만원에서 440억원으로 93억원 증액됐다고 밝혔다. 우주산업클러스터 완성을 위한 이 사업은 한국 우주기술 연구·인재개발의 핵심 거점으로서 정치권의 시선을 끌고 있다.

 

이번 증액 조치는 2023년 8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결정된 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추가 공간 수요와 최근 물가·환율 상승에 따른 장비비 부담이 커지면서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따라 개인·공동 연구실, 회의실 등 센터의 공간 활용 규모가 기존 5천40여㎡에서 7천860여㎡로 크게 늘어나게 됐다.

정치권에서 사업비 확보를 둘러싼 치열한 논의도 있었다. 황정아 의원은 “지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본예산 심사 과정에서 대전 우주산업 클러스터 인력양성 R&D 사업 예산은 증액 통과됐으나, 윤석열 정부 등이 예결위 심사에서 반대하면서 끝내 본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황 의원은 이번 증액 결정에 대해 “우수한 우주 인재를 양성하는 데 필요한 마중물이자 대한민국이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든든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예산 증액으로 대전이 전국 우주산업클러스터 삼각체제(전남 발사체, 경남 위성, 대전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의 한 축을 확실히 담당할 전망이다. 추가 공간 확보로 인재 양성, 산·학·연의 연구 역량 결집 등 글로벌 우주 교육 네트워크 구축의 거점 역할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는 향후 정부 측 추가 예산 지원 및 우주산업 R&D 투자 확대를 두고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정치권은 대전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 구축 사업을 둘러싸고 정책적 주도권과 지역 산업 활성화 논쟁 양상도 보이고 있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황정아#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더불어민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