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한일 외교, 한반도 평화와 국익 중대 기로”…정청래, 양국 정상회담 성공 당부
한일 및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과 정청래 대표가 외교 현안에 대한 목소리를 높였다. 정청래 대표와 지도부는 2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는 23일과 25일 각각 열리는 한일 및 한미 정상 외교가 한반도 평화와 대한민국 국익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성공적인 순방에 대한 기대를 밝혔다.
정청래 대표는 “한일 양국 지도자가 오직 국익을 위한 상생을 생각하고 있다”며 “결코 과거를 묻어두지 않고 제대로 해결하기 위한 상생이라고 믿고 있다”고 발언했다. 그는 이어 “한일정상회담은 과거를 직시하는 동시에 미래를 바라봐야 하는 매우 어려운 회담으로, 국민께서 그 어려움을 공감해주시길 부탁드린다”며, 두 나라 정상 간의 자주적이고 솔직한 대화의 지속을 강조했다.

25일 열릴 한미정상회담과 관련해선 “굳건한 한미동맹을 확인하고 국익 위주의 실용 외교를 더해 미래형 동맹이라는 결실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하노이 노딜 이후 비껴간 한반도 평화의 운명이 다시 가동되길 간절하게 소망한다”며 북미 및 남북 관계 복원의 출발점이 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를 비롯한 경제 협력은 국민 삶과 직결되는 분야로 반드시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며, 경제·과학기술·문화·인적교류 확대 등 포괄적 동맹 강화에 기대를 나타냈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일본 정부의 과거사 문제 대응을 지적하며 “광복절 당일 이시바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공물 봉납은 이재명 대통령의 ‘한일관계가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는 의지에 역행하는 유감스러운 모습”이라며, 일본 정부의 진정성 있는 반성과 책임을 촉구했다. 또 “한일정상회담을 맞아 일본 정부의 과거사에 대한 진정어린 반성과 책임지는 모습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미정상회담에 대해선 “성공리에 마무리된 지난 관세협상에 이어 양국의 더욱 굳건한 동맹과 공동 번영을 위한 전환점이 되리라 확신한다”며, 국민의힘에도 대승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재명 대통령이 '이전 정부에서 이뤄진 위안부 문제 합의 및 강제징용 해법을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힌 것을 적극 지지한다”면서도, 일본의 동북아 평화 기여 확대와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 성과도 주문했다.
이날 민주당 최고위원회는 23일부터 이어질 한일·한미정상회담을 한반도 안보와 동북아 평화의 중대한 전환점으로 진단하면서, 정부의 내실 있는 성과창출과 초당적 외교 노력을 거듭 촉구했다. 정치권은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외교 전략과 대북정책을 둘러싸고 이견을 드러내고 있어, 앞으로의 정국에서 한미·한일 관계, 남북 대화의 향방이 주요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