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교-국민의힘 정교유착 사실시 해산 공감 67.2%”…지역·연령대 불문 압도적 동의

김태훈 기자
입력

정치적 충돌 지점이 분명해진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통일교의 조직적 국민의힘 당원 가입 및 대선자금 지원 등 정교유착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국민의힘에 대한 해산 주장에 국민 다수가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수치가 공개되며 여야와 지지층 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여론조사꽃이 9월 26일부터 2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CATI(전화면접) 조사에 따르면, 통일교의 국민의힘 정교유착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국민의힘이 위헌정당으로 해산돼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67.2%로 집계됐다. 이 중 46.9%는 ‘매우 공감한다’고 답했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29.0%였고, 찬반 격차는 38.2%포인트였다.

통일교 정교유착 사실시 국민의힘 해산 공감 60%대 (여론조사꽃)
통일교 정교유착 사실시 국민의힘 해산 공감 60%대 (여론조사꽃)

권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해산 공감 의견이 다수를 이뤘다. 호남권 응답자 중 83.2%가 공감했고, 경인권(70.4%), 강원·제주(70.2%), 서울(67.9%), 부·울·경(66.1%)도 공감 비율이 60%대를 넘겼다. 대구·경북은 공감 50.1%, 비공감 47.6%로 팽팽한 양상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40대(84.2%) 및 50대(77.8%)의 공감 비율이 가장 높았고, 30대(68.4%)와 60대(61.3%), 18~29세(60.6%)도 과반을 상회했다. 70세 이상은 공감 47.2%, 비공감 43.3%로 갈렸다. 성별로는 남성(68.2%), 여성(66.2%) 모두 60%선을 기록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입장이 극명히 엇갈렸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92.3%가 해산 주장에 공감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69.2%가 비공감한다고 밝혔으며, 공감 의견은 24.2%에 그쳤다. 무당층은 53.0%가 공감해 과반 이상이었다. 진보층(89.2%)과 중도층(68.6%)에서도 찬성 여론이 강했지만, 보수층은 비공감(51.8%)이 공감(44.7%)보다 높았다.

 

같은 기간 진행된 ARS 조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됐다. ‘공감한다’는 응답이 60%대로 확인됐다. 호남권이 79.0%로 여전히 가장 높았고, 부·울·경(68.6%), 서울(60.8%), 경인권(60.1%)도 공감이 우세했다. 충청권(54.9%), 대구·경북(51.6%), 강원·제주(51.2%) 역시 절반 이상이 해산 주장에 공감함을 보였다. 40대(72.3%)와 50대(69.5%) 등 중장년층의 동의가 두드러졌고, 18~29세(49.5%)에서도 공감이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성별로는 남성(62.3%), 여성(60.8%) 모두 비슷했다. 민주당 지지층의 92.5%가, 국민의힘 지지층의 80.9%는 각각 공감·비공감에 답했다. 무당층은 공감 50.6%로 집계됐고, 진보층(85.5%), 중도층(63.4%)에서는 공감, 보수층(59.1%)은 비공감 의견이 많았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조사 결과를 놓고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은 공당의 정교유착 시 엄정한 심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국민의힘 관계자들은 정교유착 의혹의 실체부터 밝히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민 여론의 기류 변화가 내년 총선 정국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장기화될 경우 정당 체계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CATI 조사는 9월 26일부터 27일까지 무선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으로 이뤄졌으며, 응답률 11.0%,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ARS 조사는 같은 기간 무선 RDD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 2.4%, 표본오차는 동일하다. 두 조사는 성·연령·권역별 가중값을 적용했다. 더욱 자세한 조사 내역은 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날 국회는 국민의힘 정교유착 의혹과 해산 주장 여론을 둘러싸고 치열한 논쟁이 이어졌다. 정치권은 내년 총선 정국에서 해당 이슈가 변수로 떠오를 것으로 보고, 추가 진상 규명과 법적 쟁점 검토에 들어갈 전망이다.

김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민의힘#통일교#여론조사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