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가격 경쟁은 멈춰야”…중국, 전기차·음식배달 산업에 규제 강화 움직임
현지시각 18일, 중국(China)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이 ‘어러머’, ‘메이퇀’, ‘징둥’ 등 대형 음식배달 플랫폼을 직접 소집해 출혈 경쟁과 무분별한 가격 인하를 중단하라고 공식 경고했다. 최근 디플레이션 압력과 소비경기 침체가 뚜렷해지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경쟁 질서 회복에 나서면서 관련 산업에 직접적인 파장이 미치고 있다.
올해 2월 ‘징둥’의 음식배달 시장 진입 이후 주요 플랫폼 간 음식을 무료 제공하거나 배송료까지 대폭 할인하는 ‘0원 배달’ 등 과도한 프로모션이 잇따랐다. 일부 성·도시 요식업 협회는 공식적으로 초저가 경쟁을 중단하라는 요구를 플랫폼 업체에 제기했다. 충칭시 요식업 협회는 “초저가 마케팅이 오히려 업계 전체의 이익과 시장 질서를 흔든다”고 우려했다.

면담 이후에도 ‘25위안 결제 시 25위안 할인’, ‘밀크티 무료 이용권’ 등 보조금 경쟁이 이어졌으며, ‘메이퇀’ 왕푸중 최고경영자(CEO)는 다수 주문량이 “거품”이라며 출혈 경쟁의 부작용을 경고했다. 전기차 산업 역시 출혈 할인과 원가 이하 판매, ‘주행거리 0km’ 차량의 중고시장 유통 등 무리한 경쟁이 함께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16일 국무원(중국 정부)은 ‘전기차 산업의 비이성적 경쟁’에 공식 우려를 표하면서 가격 모니터링, 제품 품질 강화, 할인 마케팅 자제 등 규제 방침을 강조했다.
산업별 불균형과 우회적 할인책도 쟁점이다. ‘블룸버그인텔리전스’의 요안나 천은 자동차 업체가 무료 경품 제공이나 대출금리 인하 등 간접적 출혈 경쟁으로 정책을 피해갈 수 있다고 분석한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의 황톈레이 연구원은 각 지방 정부의 과도한 산업 유치 경쟁에 대해 중앙의 조정 필요성을 제시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4일 “모든 성이 동일 신산업에 투자해야 하느냐”는 발언을 통해 AI·전기차 등 신산업 과열 경쟁에 우려를 드러냈다. 관영매체가 시 주석의 구어체 경고를 그대로 보도한 것도 이례적이라는 현지 평가다.
중국 증시와 투자자들은 중앙정부의 경쟁 자제 및 산업 질서 재정비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관련 정책 변화에 따라 향후 산업 성과와 시장 지형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며 투자에도 신중함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번 조치가 글로벌 시장에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