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과학기술로 국가 성장”…독립운동가 후손들, 과 기인으로 이어가는 애국정신
정치

“과학기술로 국가 성장”…독립운동가 후손들, 과 기인으로 이어가는 애국정신

서현우 기자
입력

정치적 정체성의 뿌리와 미래 비전이 격돌했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열린 세계한인과학기술인대회에서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과학기술로 국가를 발전시키자’는 선대의 뜻을 계승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첨단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차세대 후손들의 이야기는 한국 현대정치와 연결되는 국가발전 전략의 이면을 조명했다.  

 

9일, 서울에서 열린 세계한인과학기술인대회의 ‘독립운동가 후손 과학기술인과의 만남’ 세션에는 한민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등 전 세계 각지 독립유공자 후손 7인이 참석했다. 한민구 교수는 "할아버지께서 국가가 발전하려면 산업이 발전해야 한다는 말씀을 늘 하셨는데, 이것이 저희 집안의 지표가 됐다"며 "과학기술 보급에도 관심이 많으셨고, 저도 공대를 간 데에 그런 영향이 있었다"고 말했다. 한 교수의 아버지 고 한만춘 교수도 전기공학 박사 1호로 2017년 과학기술유공자에 선정된 바 있다.  

김복형 독립운동가의 손자 김광릉 중국 국가전망공사상해지사 정보센터 기술사는 "할아버지께서는 정치에 관여하지 말라는 말과 함께, 과학과 기술에 힘써 조국을 부강하게 하라는 유언장을 남기셨다"며, 자신과 아버지 모두 엔지니어로서 평생을 보낸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저 역시 과학이 나라를 구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뿌리를 찾아 한국에 들어온 신을노 선생의 손자 글렌 윈켈(신대현)씨는 올해 건국포장을 받고 특별귀화를 신청했다. 윈켈 씨는 "우리 가족 중 아무도 할아버지께서 독립운동가이신 줄 몰랐다"며, "공헌이 나라에서 인정받아 영광"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미래를 위해 "작은 나라, 제한된 자원이지만 발전시킬 기술 역량을 갖춰야 하며, 과학에 열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응진 독립운동가의 후손 지청룡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역시 "할아버지는 자유 국가로 사는 근본 원리를 실현하기 위해 독립운동을 하셨다"며 "저 역시 우주의 근본 원리를 깨닫기 위해 공부 중이고, 어린 시절 할아버지 기억이 삶의 지침이 됐다"고 전했다.  

 

행사에는 허상기 독립운동가의 후손 강동현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책임연구원, 손수용 후손 손석호 미국 메모리얼슬론케터링암센터 박사후연구원, 최재형 독립운동가의 후손 최재현 인천대학교 학생 등도 참여해 각자 과학기술에 대한 소명과 집안의 애국정신을 공유했다.  

 

독립운동가 후손 과학기술인들의 세션은 국가의 미래전략에서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선대의 애국정신이 산업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모습이 한국 정치사회에 각별한 의미를 남긴다”는 의견도 나왔다.  

 

세계한인과학기술인대회는 앞으로도 광복 80주년을 기점으로 과학기술 분야 인재 교류와 독립운동정신의 계승에 힘쓸 계획이다.

서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민구#세계한인과학기술인대회#독립운동가후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