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개선장군처럼 비칠라"…강득구, 광복절 특별사면 이후 공개 행보에 우려 표명
정치적 논란이 다시 촉발됐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이 광복절 특별사면을 받은 뒤 공개 행보에 나선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를 두고 공개적으로 우려를 나타냈다. 조국 전 대표의 특별사면을 가장 먼저 주장했던 강득구 의원이 이번에는 "자숙과 성찰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정치권의 묘한 긴장이 감지되고 있다.
강득구 의원은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조 전 의원을 면회하고 누구보다도 앞장서서 사면을 건의했던 당사자로서 지금의 모습은 당혹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모습이 국민에게 개선장군처럼 보이는 것은 아닐지 걱정스럽다"고 언급했다. 강 의원은 조 전 대표가 검찰 권력의 희생자였고 가족이 과도하게 고통받았다고 평가하면서도, "그렇다고 해서 모든 것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구체적으로 강 의원은 "적어도 지금의 모습은 아닌 것 같다. 보편적 국민 정서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한 "겸허하게 될 때를 기다려 달라"고 조국 전 대표를 향해 요청했다.
강득구 의원은 앞서 특별사면 직전에도 페이스북에 "그와 그의 가족은 이미 죗값을 혹독하게 치렀다"며 조국 전 대표의 사면을 적극적으로 건의한 인물이다. 그러나 조국 전 대표가 사면 직후 공개 행보에 나서는 상황을 두고, 다시금 신중한 처신을 촉구한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조국 전 대표의 사면 이후 공개 행보를 둘러싼 시선이 엇갈리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강 의원의 지적처럼 '조심할 필요가 있다'는 분위기가 일부 형성된 반면, 지지층 일부는 조 전 대표의 억울함을 호소하며 복권의 정당성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정국의 또 다른 쟁점으로 부각된 조국 전 대표의 공개 행보 논란은 여야 정치권 모두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는 신중론이 고개를 들고, 향후 조 전 대표의 정치적 복귀 시점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회는 이날 조국 전 대표의 사면과 관련한 후폭풍 속에서 정치적 공방을 이어갔다. 정치권은 조국 전 대표를 둘러싼 행보와 그에 대한 당내외의 평가를 두고 한동안 첨예한 논쟁을 벌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