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갑질 논란 증폭”…여야, 보좌진 구조 개선 요구 격돌
국회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강선우를 둘러싼 직장 내 ‘갑질’ 의혹이 정치권 내 갈등을 키우고 있다. 여야 지도부는 임명 강행 여부와 보좌진-의원 관계의 구조적 문제를 두고 날 선 공방을 벌이고 있으며, 국회 보좌진 사회 전반에 긴장감이 빠르게 번지고 있다.
22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CBS 라디오에 출연해 “일반 직장 내 갑질과 의원-보좌진 갑질은 그 성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의원과 보좌진이 ‘동지적 관계임’을 언급하며, 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옹호 입장을 비쳤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 등 야당에서는 “사적 심부름을 거리낌 없이 시키는 의원-보좌진 구조 자체가 문제”라며 비판을 높였다. 한동훈 전 대표는 22일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보좌진은 국민 세금으로 월급 받는 공직자”라며, 국회 권력 구조의 윤리적 원칙 훼손을 지적했다.

직접적 여파는 국회 보좌진들 사이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21일 기준 국회 보좌진 익명 커뮤니티에는 “유독 오늘 서글프고 무기력하다”는 등 각종 자조가 쏟아졌다. 임명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과 함께, 실질적 정치현장에서 일하는 보좌진 내부엔 냉소와 자괴, 권력에 대한 불신의 목소리가 터졌다. 일부 보좌진은 “권력에 굴복했다는 쓰라림이 남는다”고 토로했다.
강선우 후보자는 과거 근로·경비원 등 약자 보호법안을 연이어 발의해왔으나, 최근 보좌진에 대한 사적 업무 지시 의혹과 폭로가 나오면서 ‘내로남불’이라는 비판도 받았다. 나아가, 일부에서는 강선우 후보자가 예산심사 과정에서 지역민원 미해결을 이유로 행정 각 부처 장관을 압박했다는 주장까지 이어지면서 논란은 한층 확산되고 있다. 이에 민주당 내부에서도 “임명 전 사실관계 소명과 피해자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가 우선”이라는 신중론이 나오고 있다.
정치권의 이번 ‘갑질’ 논란은 여야 대립을 넘어 국회 권력관계, 보좌진 노동권 등 근본적인 문제로 확장되는 중이다. 향후 강선우 후보자 임명과 후속 대책, 국회 내 노동 환경 개선 논의가 어떻게 진행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