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작”…소상공인 매출↑,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21일부터 본격적으로 지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상공인과 유통업계를 중심으로 전국 경제 현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1인당 15만~55만 원씩 지원되는 이 쿠폰은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해 소비 진작과 지역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를 키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기 부양책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신호로 평가하며, 향후 민생과 내수 회복 흐름에 중대한 변수로 보고 있다.
22일 업계와 지자체에 따르면, 편의점, 프랜차이즈, 식자재마트 등 주요 유통 채널은 쿠폰 지급에 맞춘 프로모션 경쟁에 돌입했다. GS25, CU, 세븐일레븐 등은 라면·신선식품 등 주요 상품 할인, 전용 카드 적립 등 혜택을 확대했고, 배달 앱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만나서 결제’ 기능을 도입했다. 거리상점, 임대매장 등도 소비쿠폰 고객 유치에 나서며 유통 전반의 매출 증대 기대가 커지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은 발 빠르게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에 힘을 싣고 있다. 21일부터 계양구, 수원시, 서귀포시 등은 각 동 행정복지센터별로 전담 창구를 신설해 현장 안내와 민원 대응을 강화했다. 수원시는 AI 기반 복지 민원 서비스까지 도입해 신청 기준, 지급액 등 상세 정보를 제공하면서 행정 부담을 줄이고 있다. 부산, 송산동 등 다른 지역도 콜센터 운영, 방문 지원 등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가동 중이다.
배포 첫 주가 여름 휴가 성수기와 겹치면서 매출 반등에 대한 업계 기대감이 높아졌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이나 거리매장 점주의 대부분이 소상공인·자영업자라, 실질적 수혜로 연결될 것”이라며 “장기간 침체된 소비심리에도 긍정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역시 임대매장 중심으로 쿠폰 사용 안내를 강화하며 간접 효과를 노리고 있다.
정부는 1차 지급에 이어 2차 지급, 출생연도 요일제 등을 통해 민원 분산에도 힘쓰고 있다. 각 지자체별 현장 대응과 AI 상담·콜센터 등 민원 지원책도 보강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소비쿠폰 정책이 민간소비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칠 효과에 주목하며 “지속적 관리와 제도 보완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향후 정책 방향은 소상공인 매출, 소비심리, 지역경제 지표의 흐름에 좌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