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전산망 복구 96%”…정부, 위기단계 하향 조정 → IT 인프라 혁신 예고
국가 주요 정보시스템의 전산망 장애 사태가 신속한 복구 흐름을 보이며 IT 행정 인프라의 관리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정부는 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전자정부 시스템 장애 문제와 관련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40일 만에 해제하고 재난 위기경보 단계도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했다. 전체 복구율은 96%에 달한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후 5시 기준 전체 709개 장애 시스템 중 680개가 정상화돼 복구율이 95.9%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국민 안전과 밀접한 1·2등급 시스템은 모두 정상화됐으며, 3·4등급 행정업무 시스템의 복구도 막바지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 중대본 회의에서 “남은 시스템 역시 신속히 복구를 마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장애는 9월 26일 대전 본원 화재 이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즉각 가동되며 대응이 시작됐다. 전산 장애 복구에는 주도적인 장애 원인 분석, 이중화 인프라 가동, 대구센터 권한 이관 등 다단계 대응 전략이 적용됐다. 특히 안전신문고, 노사누리 등 대국민 행정 서비스의 복구 속도가 주목받았다.
정부는 남은 16개 대전센터 시스템은 11월 20일까지,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시스템들은 12월 중으로 복구를 마친다는 방침이다. 또한 1차 예비비 1521억원에 이은 추가 예산 확보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국내 전자정부 시스템의 이중화 및 유연한 복구체계의 중요성을 다시금 부각시켰다는 평가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대전·대구센터로 분산 복구를 진행하며 주요 부처 업무 시스템의 신속 정상화를 목표로 한다"고 언급했다. 미국 등 글로벌 선진국들은 물리적으로 장애 발생 시 비상 전환체계를 제도화하고 있어, 앞으로 국내 법령 및 기준 역시 강화 기조를 보일 전망이다.
정부는 재발 방지 대책도 병행할 계획이다. 윤호중 장관은 “이번 일을 계기로 전자정부 인프라의 근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김 차관 역시 “시스템 복구를 넘어 인프라 전반의 체질 개선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보시스템 등급제 조정, 백업·복수센터 구축 방안 등 대대적 개편 논의가 본격화됐다.
전문가들은 시장과 산업 차원에서 국가 핵심 IT 인프라의 연속성과 보안·복구 체계가 더 강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조치로 전자정부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도가 한층 강화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