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국, 1930년대식 경제 통제 기조 우려”…레이 달리오,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경고
국제

“미국, 1930년대식 경제 통제 기조 우려”…레이 달리오,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경고

오예린 기자
입력

현지시각 1일, 미국(USA)의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설립자 레이 달리오가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가 1930년대에 준하는 경제 통제와 독재적 리더십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진단은 미국의 경제 정책 변화가 국제 투자자들의 불신과 글로벌 경제 질서 재편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달리오는 트럼프 행정부가 민간기업에 대한 국가적 개입, 예컨대 인텔 지분 취득 등에서 보이는 강경한 통제는 경제와 금융에 대한 집권층의 통제 욕구라고 밝혔다. 그는 "나는 단지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보복을 우려해 침묵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FT는 달리오가 트럼프 정책을 구체적으로 독재적 또는 사회주의적이라고 지칭하지는 않았지만, 정부가 중앙은행과 기업 활동에 대한 감독을 점차 강화하고 있다고 해설했다.

‘레이 달리오’ “트럼프 행정부 경제통제, 1930년대식 독재적 양상”
‘레이 달리오’ “트럼프 행정부 경제통제, 1930년대식 독재적 양상”

특히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등 핵심 산업에 대한 수출 규제, 각종 수수료 강화 움직임과 관련해, 달리오는 자신이 제창한 ‘빅 사이클’ 이론을 바탕으로 "큰 갈등과 위기 상황에는 국가 지도자들이 시장 통제에 직접 개입하는 경향이 강화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부의 격차 심화, 가치관 갈등 확대로 인해 우파·좌파 포퓰리즘이 팽배해지고, 끝내 민주적 절차로 해결이 어려운 국면에서는 독재적 체제 강화로 귀결될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했다.

 

달리오는 이어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의 독립성 훼손 문제도 심각한 불안을 초래한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해 금리 인하를 수차례 촉구하고, 리사 쿡 연준 이사를 해임하는 등 정치적 압력을 높이는 점에서, 연준이 자율성을 상실할 소지가 부각됐다. 달리오는 "연준이 정치 압력에 따라 금리를 내릴 경우, 미국 통화 신뢰가 약화되고, 달러 표시 자산의 매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달리오는 국제 투자자들이 미 국채 대신 금 투자로 방향을 옮기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재정 신뢰에 핵심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연준은 금리 인상에 따른 디폴트 위험과 채권 매입을 통한 달러 가치 저하 사이에서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설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전망에 대해 미국 내외 주요 언론은 미국의 경제 통제 강화가 글로벌 금융 질서, 특히 달러 기축 통화 체계에 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사설을 통해 ‘연준 독립성 약화가 시장 혼란으로 직결될 수 있다’고 분석했고, 영국(Britain) BBC 역시 ‘달리오의 경고가 현 경제 상황의 변곡점을 지목한 것’이라고 해설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이어질 경우 미국뿐 아니라 세계 투자·금융 질서 전반에 파장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한다. 국제사회는 미국의 정책 변화와 연준의 실질적 대응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오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레이달리오#트럼프#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