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지방정부 교류로 평화 길 넓히겠다”…임종석, 협력 확장 의지 강조
남북 교류를 둘러싼 기대와 현실 사이에서 임종석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이사장이 새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임 이사장은 7일 직접 밝힌 계획을 통해 남북 지방정부 간 협력 강화와 지식재산권 분야 교류 확장을 예고하며, 한반도 평화의 실질적 진전에 대한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날 임종석 이사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경문협은 한 발 더 내디디려 한다"고 운을 뗐다. 그는 “그동안 지속해왔던 지식재산권 협력을 확장하고, 새로이 남북 지방정부 간 교류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 이사장은 이어 “국제 정세나 국내 정치의 변동에 흔들리지 않고 신뢰를 중시하며 지속적인 협력을 추구하는 것이 경문협이 지켜온 원칙과 철학”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는 지방 정부 간 협력에 중점을 두려 한다”고 덧붙였다.

지방정부 차원의 남북 교류 의지도 분명히 했다. 임 이사장은 “이미 남북교류 협력 지방정부 협의회가 구성돼 30개가 넘는 지방정부가 의욕을 가지고 있다”며, “중앙정부 간 협력과는 별도로 지속적이고 전면적인 협력이 가능하도록 튼튼한 다리를 놓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내 평양을 방문할 수 있다면 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많은 대화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며 평양 방문 추진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언제부턴가 제겐 숙명처럼 다가온 남북 평화와 협력의 길을 흔들림 없이 걸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 내에서는 임 이사장의 경문협 이사장 복귀와 동시에 역동적인 남북 협력 구상이 다시 힘을 얻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일각에선 남북관계 경색 장기화 속 지방정부 중심 교류가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일시적 분위기 전환만으로는 실상 한계가 명확하다며 북측의 실질적 호응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됐다.
임 이사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뒤, 지난해 총선 출마로 경문협 이사장직을 사임했다가 지난 6월 24일 이사회에서 다시 이사장에 취임했다. 경문협은 2004년 설립된 비영리 민간단체로, 남북 협력 사업을 원하는 국내 단체와 기업, 민간인을 연결해 남북 간 교류 기반을 다지는 데 주력해 왔다.
남북관계 경색 국면이 지속되는 가운데 지방정부 중심 확장 전략이 당장 북한의 태도 변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다만 임 이사장이 제시한 민간·지방정부 경로가 향후 남북 교류 재개와 평화 분위기 조성에 어떤 역할을 할지 정치권과 시민사회 모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