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발언 논란 격화…강준욱 자진사퇴” 이재명 대통령, 사의 즉각 수용
‘비상계엄 옹호’ 논란이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의 사퇴로 이어졌다. 강 비서관이 과거 저서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예민한 문제에 대해 잇달아 부적절한 견해를 드러낸 사실이 조명되면서, 대통령실과 정치권 전체가 여론 격랑에 휩싸였다.
강준욱 비서관은 22일 오전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고, 이재명 대통령이 이를 곧바로 수용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민통합비서관은 자신을 지지하지 않은 국민도 넓게 포용하겠다는 대통령의 강한 의지에 따라 보수계 인사의 추천을 거쳐 임명했지만, 국민주권정부의 국정 철학과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강하게 제기됐다”며 “강 비서관은 자진사퇴를 통해 자신의 과오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를 국민께 전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대통령은 이를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사태의 발단은 강 비서관이 동국대학교 교수 재직 시절, 올해 3월 출간한 저서 ‘야만의 민주주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옹호하고 내란으로 규정하는 것은 ‘여론 선동’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벌어졌다. 20일 이를 다룬 언론 보도 이후 여러 SNS 기록 등에서 일제 강제징용 부정, 서울서부지법 폭동 사태 및 5·18 광주민주화운동 폄훼 등 추가 논란이 이어지며 사퇴 압력이 높아졌다.
강 비서관은 논란이 확산되자 “계엄으로 고통을 겪으신 국민께 깊은 상처를 드렸다”며 “지금이라도 대통령의 통합 의지를 완수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사과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박찬대 의원 등 야권 인사들이 즉각적인 사퇴를 촉구했고, 여권 내부에서도 ‘결단’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공개적으로 나왔다. 전날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 역시 “강 비서관의 어제 사과가 대통령의 임명권에서 나타난 통합의지를 훼손하지 않는 정도인지 판단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추가 조치를 시사했다.
한편, 강 비서관 임용 당시 검증 시스템 한계에 대한 지적도 제기됐다. 강 대변인은 “검증 시스템에서 보지 못한 예상외의 문제가 발견됐다”며 “인수위 없는 정부로서 사후적으로라도 문제가 확인될 경우 책임지는 태도를 보여주려 한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후임 국민통합비서관은 이재명 정부의 정치철학을 이해하고 통합의 가치에 걸맞은 보수계 인사 중에서 임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은 강 비서관 인선 논란을 두고 여야가 첨예하게 맞서며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대통령실은 향후 인사 검증을 강화하는 한편, 통합의 가치 실현을 위한 후속 인선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