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산단 내 중대 사고 5년간 133건…사망 110명” 김원이, 안전관리 빈틈 지적

조수빈 기자
입력

산업단지 내 반복되는 중대 사고를 두고 정치권의 비판과 대책 촉구가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한국산업단지공단 관할 67개 산업단지에서 133건의 중대 사고가 발생했으며 사망자만 110명에 달했다. 반복되는 인명 피해와 수천억 원대의 재산 손실이 드러나면서, 산업단지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전면적 재점검 요구가 확산되고 있다.

 

29일 김원이 의원(산자위 간사, 전남 목포시)은 산단공이 제출한 ‘관리 산단 내 사고 현황’ 자료를 공개하며 실제 피해 규모를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6월까지 133건의 중대 사고가 이어졌고, 재산피해액은 1천453억원에 육박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매년 20건을 웃도는 사고가 끊이지 않았고, ▲2020년 26건(사망 21명), ▲2021년 25건(사망 24명), ▲2022년 26건(사망 22명), ▲2023년 23건(사망 20명), ▲2024년 24건(사망 16명), ▲2025년 상반기 9건(사망 7명) 등으로 사망자 규모도 꾸준한 양상을 보였다.

2022년 한 해에는 중대 사고 26건 가운데 사망자 22명, 부상자 46명, 재산피해 930억원 등 인명과 물적 피해가 집중됐다. 사고 유형별로는 산업재해가 56.3%(75건)로 절반을 넘었고, 화재 31건, 폭발 15건, 유해화학물질 누출 12건도 만만치 않았다. 울산미포 산단이 20건으로 가장 많았고, 창원 15건, 여수·온산 각 13건, 포항 12건, 광양 10건 순으로 대규모 제조·화학물질 취급 단지에 피해가 집중된 것으로 파악됐다.

 

김원이 의원은 "산업단지 내 반복되는 중대사고는 단순히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안전관리 부실의 결과"라면서 "고위험 지역에 대한 디지털 기반 정밀점검 체계 도입과 기관 간 협업 시스템의 실효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여야 정치권은 이날 자료 공개를 계기로 산업단지 안전 강화 방안을 놓고 격론을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중대재해와의 전쟁’ 선언이 보여주기식에 머무르는 것 아니냐”는 날선 공세를 가했으나, 국민의힘은 "현장 중심의 단계적 개선을 위해 제도적 보완이 진행 중"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전문가들 역시 "반복된 대형 사고의 원인은 현장 안전관리 미비와 시스템 미흡"이라는 진단을 내놓았다.

 

산업단지 내 안전 문제가 정쟁의 소재로 부상하며, 재발 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해소책에 주목도가 높아진 상황이다. 정부는 고위험 산단의 정밀 점검 확대와 기관 간 협업 강화 등 근본 대책에 대해 추가 검토에 착수할 계획이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원이#더불어민주당#산업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