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양산 본격화”…방위사업청, 연말부터 각 군 실전 배치 돌입

정재원 기자
입력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을 둘러싼 군 전력 강화 움직임에 방위사업청과 방산업계가 적극 나섰다. 방위사업청 주도로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개발이 결실을 맺으면서, 각 군에 배치될 차세대 로봇 전력화가 본격화됐다. 방위산업과 미래 전장 환경 변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2천700억원대 대규모 양산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2025년 9월 29일 경남 창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업장에서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양산사업 착수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를 포함한 각 군 관계자와 국방기술품질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인사가 참여한 가운데, 양산 계획 및 공정·품질 관리, 부품 단종 대응책, 유관기관 협력 방안 등이 폭넓게 논의됐다.

방사청은 2020년부터 자체 기술을 활용해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개발을 추진해 왔으며, 2023년 8월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다. 2025년 9월 5일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2천700억원 규모 양산 계약을 맺고 생산에 본격 착수했다. 이에 따라 로봇은 올해 말부터 군 각급 부대에 순차적으로 인도되며, 2026년 말까지 실전 배치가 완료될 예정이다.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은 고도의 기동성과 모듈형 장비를 갖춰 임무에 따라 장비 탈부착이 가능하다. 단순 폭발물 탐지와 제거 임무를 넘어, 위험지역 정찰, 비무장지대(DMZ) 통로 개척, 지하 시설물 탐색 등 다양한 전략적 작전 지원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방산업계 내부에서는 미래 전장 대응 기술 확보와 함께 부품 국산화, 유지보수 효율성 확보에 주목하고 있다.

 

정재준 방위사업청 미래전력사업지원부장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이 일선 부대에 배치되면 우리 군의 임무 수행 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장병들의 안전을 더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형 로봇 배치를 둘러싸고 군 내외에서 기대와 관심이 집중되는 양상이다.

 

현재 군 전문가는 “로봇 전력화는 비대칭 위협에 대응하는 새로운 해법”이라며 “장병 안전과 임무 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라는 평가를 내놓았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안정적인 운용, 교두보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예산과 부품 공급망 관리가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방위사업청은 연말부터 순차적으로 로봇을 각 군에 전달하면서 실전 테스트와 교육을 병행해 운용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국방부는 미래 전장 환경 변화에 대응해 관련 로봇 전력 발굴과 도입 확대를 검토할 계획이다.

정재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방위사업청#폭발물탐지제거로봇#한화에어로스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