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지역·전 세대 압도적 지지”…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 76.2% 기록
여야를 가르는 정치적 경계선 위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맞섰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두고 여론조사 결과 긍정 평가는 76.2%에 달했다. 전통적인 정치색이 뚜렷한 지역과 세대, 그리고 이념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대통령에 대한 압도적 지지 흐름이 포착됐다.
여론조사업체 ‘여론조사꽃’이 7월 18일부터 19일까지 전화면접조사로 국민 1,007명에게 물은 결과,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76.2%, 부정 평가는 21.9%로 집계됐다. 긍정과 부정 간 격차는 54.3%포인트로 벌어졌다.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7명이 넘는 인원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는 해석도 나왔다.
![[국정 지지율]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76.2%…전 지역·전 세대서 압도적 지지(여론조사꽃)](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0721/1753079124850_770942969.webp)
지역별로는 정치적 기반이 상이한 지역에서까지 고른 지지세가 확산됐다. 호남권의 긍정 응답률은 91.6%에 이르렀고, 강원·제주(80.7%), 서울(77.4%), 충청권(76.5%), 경인권(76.3%) 등도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부·울·경(71.4%)과 대구·경북(64.0%) 등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에서도 긍정 평가가 절반을 넘으며 주목을 받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87.9%)와 40대(87.4%) 지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0대(74.1%), 60대(72.1%), 70세 이상(66.5%), 18~29세(65.3%) 등 모든 세대에서 긍정 응답이 다수를 점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70% 이상이 긍정적 평가를 내놨다.
세부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경우 97.6%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62.7%가 부정 평가를 택했고, 무당층에서는 긍정 42.7%, 부정 48.8%로 소폭 부정이 앞섰다. 진보층(94.9%)과 중도층(78.5%)에서 높은 긍정 응답이 이어졌고, 보수층도 긍정 평가가 52.5%로 집계됐다.
동일 기간 ARS조사 결과 역시 유사한 추이를 보였다. 해당 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는 69.7%, 부정 평가는 28.3%로, 긍·부정 격차는 41.4%포인트로 집계됐다. 충청권(78.9%)과 호남권(78.0%)이 전국 최고 지지율을 기록했고, 부·울·경(71.6%), 경인권(69.3%), 서울(66.0%), 대구·경북(63.8%), 강원·제주(54.4%) 모두 과반을 넘어섰다.
연령대별로도 30대 이상 전 세대에서 긍정 평가가 두드러졌다. ARS조사에서 40대(84.9%)와 50대(81.1%)는 긍정 평가가 80%를 웃돌았고, 70세 이상은 66.4%가 긍정 답변을 택했다. 반면 18~29세에선 긍정 46.8%, 부정 52.5%로 부정 의견이 소폭 앞섰다.
정당별로 민주당 지지층의 긍정 응답은 98.3%에 달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85.9%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념 성향별에서는 진보층(90.4%), 중도층(70.0%)에서 긍정 평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보수층도 긍정 응답이 45.0%를 넘으며 3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이번 조사는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50%) 및 자동응답(50%) 혼합 방식으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조사 개요 및 세부 통계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여론 흐름을 놓고 해석이 분분하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국민 각계각층에서 대통령의 정책과 리더십을 강하게 신뢰하는 신호”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나 국민의힘 측은 “지지율 상승만으로 국정 문제와 민생 위기가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다”며 견제구를 날렸다. 일부 전문가들도 ‘지역·이념 벽이 낮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복합 쟁점이 많은 국정 운영의 특성상 변동 가능성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여야의 공방과 별개로, 이재명 대통령이 정치 갈등의 고착 구조를 뚫고 비교적 안정적인 민심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향후 국정운영 기조와 추가적 정책 추진 방향이 국민 지지세와 어떻게 연동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