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외교, 실험 대상 아니라는 경고”…국민의힘, 이재명 정부 외교정책에 강한 우려
정치

“외교, 실험 대상 아니라는 경고”…국민의힘, 이재명 정부 외교정책에 강한 우려

허준호 기자
입력

이재명 정부의 외교 방향을 두고 정치권의 격돌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9일 국회에서 "외교는 실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고, 이재명 정부의 대외 정책이 20년 전 자주파 성향의 노선을 따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공론화됐다. 현 정국에서 외교·안보 노선의 이념 논쟁이 다시 한 번 수면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20년 전 자주파의 사고,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외교는 국가의 생존 전략"이라며 현 정부의 외교 실험 가능성을 경계했다. 특히 주호영 국회부의장은 "이재명 정부가 어설프게 한국의 안보를 가지고 실험해보는 듯한 얘기를 안 했으면 싶다"며 "너무 자주를 내세우면 큰일 난다"고 직격했다.

외교통일위원회 간사인 김건 의원 또한 "20년 전 노무현 정부의 자주파는 반미이면 어떠냐는 생각, 우리 스스로 균형자가 될 수 있다는 사고를 보여줬다"며 "이재명 정부의 대외 정책이 자주파에 뿌리를 두고 있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자주파는 과거 참여정부에서 남북문제 중심의 외교·안보 노선을 주장했던 청와대 인사 및 학계 전문가 그룹을 지칭해왔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남성욱 숙명여대 석좌교수는 최근 이재명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기념식 참석 검토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남 교수는 "한미정상회담 날짜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만약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기념식에 참석하면 백악관이 이 정부를 친중 정부로 규정할 수 있다"며 "기념식 참석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경고했다.

 

최근 중국 측이 이재명 대통령의 전승절 기념식 참석을 제안했고,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식 참석 여부에 대해 한중 간 소통을 하는 중"이라고 지난 2일 설명한 바 있다.

 

정치권은 이재명 정부 외교 노선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의힘은 한미동맹과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대중 접근을 경계하고 있고, 여권 내에서는 섣부른 외교 실험이 자칫 외교관계 전체를 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향후 대통령실의 최종 입장 표명에 따라 한중·한미 관계의 긴장도가 달라질 전망이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민의힘#이재명#자주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