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외국산 AI칩 전면 배제”…중국, 데이터센터 자국산 의무화에 업계 긴장

윤선우 기자
입력

현지시각 5일, 중국(China) 정부가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신규 데이터센터에서 외국산 인공지능(AI) 칩의 사용을 금지한다는 새로운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글로벌 AI 칩 공급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미중 기술 경쟁 구도가 재확인되는 상황에서 국제 반도체 시장의 단기 변동성을 촉발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공정률 30% 미만의 데이터센터에 이미 설치된 모든 외국산 칩을 제거하고, 앞으로의 외국산 칩 구매를 전면 중단할 것을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공사 진척이 30%를 넘은 데이터센터에는 예외적으로 개별 심사를 적용한다는 방침이지만, 적용 지역이나 발령 기관의 상세 정보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

중국 데이터센터, 외국산 AI칩 사용 금지…AI칩·반도체주 변동성 촉각
중국 데이터센터, 외국산 AI칩 사용 금지…AI칩·반도체주 변동성 촉각

중국은 AI 칩 등 핵심 인프라 자립을 꾸준히 강조해온 가운데, 이번 조치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외국 기술 배제를 가속화하는 맥락과 맞물려 있다. 미중 무역갈등이 다소 완화되는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자국 기술에 대한 의존 강화를 우선하는 전략 변화로 읽힌다.

 

엔비디아(NVIDIA) 등 글로벌 칩 제조사는 최근 고성능 AI 칩 수출이 미국(USA) 정부 제재로 제한받고 있는 상황에서 수요선 확보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엔비디아의 신형 ‘블랙웰’ 칩은 타 반도체보다 10년은 앞서 있다”며, 중국을 포함한 해외 공급 제한 기조를 재확인한 만큼 향후 양국 간 기술 디커플링이 심화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시장 전문가는 “이번 중국의 지침은 단기적으로는 AI 칩 및 반도체 섹터 전반에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데이터센터 신설 계획과 AI 관련 투자가 위축될 수 있고, 글로벌 반도체 관련 주가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위기다. 주요 외신도 “중국의 자급률 제고 전략이 미국 및 국제 반도체 생태계에 중대한 도전”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시장은 중국 내부의 정책 적용 범위 및 추가 규제, 미국의 대응 조치·규제 수위, 그리고 글로벌 업체들의 공급망 재편 움직임에 따라 더욱 큰 파장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기술 주도권을 둘러싼 미중 양국의 ‘반도체 신냉전’ 구도가 한층 선명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중국#ai칩#엔비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