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가 경제, 평화가 밥”…고성서 9·19 군사합의 복원 촉구, 접경지역 평화 해법 모색
남북평화 해법을 둘러싼 목소리가 고조되는 가운데, 9·19 남북 군사합의 7주년을 맞아 여야와 전문가들이 강원 고성에서 다시 한 번 한반도 평화정착 방안을 모색했다. 9월 19일 고성군 DMZ 평화박물관에서 열린 '9.19 군사합의 복원 및 평화 결의 세미나'에는 더불어민주당 속초인제고성양양 지역위원회, 한반도 평화 포럼, 남북 고성 통합운동본부, 강원도민일보 등 다양한 시민사회와 지역 인사, 군사외교 전문가들이 집결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김도균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위원장(전 남북 장성급 군사 회담 수석대표), 조용근 예비역 준장(전 남북 군사실무회담 수석대표), 이상철 예비역 준장(전 청와대 NSC 1차장)이 핵심 패널로 참석했다. 박창식 전 국방홍보원장과 김영식 강릉원주대 교수도 지정토론자로 참여해 논의에 무게를 더했다.

발제에 나선 조용근 예비역 준장은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평화 상태를 만들기 위한 최우선 조치 중 하나로 남북 간 접경지역 일대에서 상호 적대행위를 전면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평화가 경제이고 평화가 밥이라는 대전제가 접경지역 일대에 실질적으로 정착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상철 전 NSC 차장도 "9·19 남북 군사합의가 7주년이 됐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남북한 상황은 합의체결 이전으로 돌아갔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이른 시일 안에 9·19 군사합의를 복원해 한반도의 평화를 만드는 노력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군사적 신뢰 복원을 촉구했다.
박창식 전 국방홍보원장은 "윤석열 정권 출범 이후 중단된 남북 간 소통창구를 조기 개통하고 대화채널을 정상 가동하려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상호 군사적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9.19 군사합의' 관련 협의를 인내심을 갖고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도균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위원장은 "접경지역 일대에서 상호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기로 한 최초의 합의문이 바로 '9·19 군사합의서'"라며 "남북 정상의 보증을 통해 접경지역 평화정착 의지를 공식화한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날 세미나를 계기로 전문가들은 남북 군사적 신뢰 회복과 소통 채널 복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해 실질적인 평화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강원 고성에서 접경지역 평화와 군사합의 복원을 둘러싼 논의가 이어진 가운데, 정부와 국회가 남북 대화와 군사적 긴장 완화 방안 논의에 나설지 주목된다. 정치권 역시 군사합의 복원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는 만큼, 향후 남북 관계 변화를 둘러싼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