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국 일방주의 규탄”…브릭스 11개국, 다극화 경제 질서 촉구와 파장
국제

“미국 일방주의 규탄”…브릭스 11개국, 다극화 경제 질서 촉구와 파장

한유빈 기자
입력

현지시각 7월 6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제17차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기존 회원국 5개국에서 11개국으로 확대된 가운데 처음으로 개최됐다. 이번 회의에서 브릭스 회원국들은 미국(USA)의 일방주의적 행동을 규탄하고, 다극화된 글로벌 경제 질서를 위한 협력 의지를 공동성명을 통해 밝혀 국제사회에 강한 파장을 주고 있다.

 

이번 회의는 브라질(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중국(China),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 등 기존 5개국에 이집트(Egypt), 이란(Iran), 에티오피아(Ethiopia),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 아랍에미리트(UAE), 인도네시아(Indonesia)가 더해진 11개국 체제로 진행됐다. 회의 핵심이었던 6일(현지시간), 정상들은 브라질 현대미술관에서 이란의 평화적 핵시설을 겨냥한 군사공격에 대한 규탄, 무차별적 관세 인상에 대한 우려 등 공동 선언문을 채택했다. 비록 성명에서 미국이나 이스라엘을 직접 지칭하지 않았으나, 미국의 이란 핵시설 타격과 대외 관세 정책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6일(현지시간) 브라질에서 열린 17차 브릭스 정상회의[리우데자네이루 AFP=연합뉴스]
6일(현지시간) 브라질에서 열린 17차 브릭스 정상회의[리우데자네이루 AFP=연합뉴스]

브릭스는 자국 통화 사용 확대와 글로벌 결제시스템 구축, 신개발은행(NDB) 투자 보증 강화, 해저케이블 등 데이터 인프라 연대에 대한 협력 방안도 의제로 올렸다. 푸틴(Russia) 대통령은 “자유주의 세계화 모델은 낡았다”고 언급하면서, 탈달러 경제 질서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브라질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은 “IMF 내 브릭스 의결권 비중을 최소 25%로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신흥국 중심의 글로벌 가버넌스 개혁을 요구했다.

 

반면, 시진핑(China) 주석과 푸틴 대통령 등 핵심 정상들이 직접 참석하지 않고 화상 또는 대표를 통한 대리 참석에 머문 점은 ‘반미 연대’의 상징성에 한계를 드러냈다. 중국은 리창 총리가, 러시아는 푸틴 대통령이 화상으로 각각 자리를 대신했다.

 

이 같은 조치와 목소리는 미국과 서방 중심의 G7 체제에 맞선 신흥 연대의 경제적·외교적 존재감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실제 브릭스 11개국은 글로벌 희토류의 72%, 원유의 43.6%를 보유하고 있고, 명목 GDP에서 세계 경제의 39%를 점유하고 있다고 다시 한 번 강조됐다.

 

하지만 각국의 입장과 이해관계 조정은 순탄치 않았다. 이란 정부는 미국, 이스라엘을 명확히 비판하길 원했으나 최종 성명에서는 표현이 완화됐고, 회원국 간 미묘한 온도차가 외교 무대 내내 감지됐다. 이와 관련 BBC와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브릭스가 G7에 필적하는 블록으로 부상했지만, 내적 단합과 합의 효용성에 의문이 남는다”고 지적했다.

 

특히, 브라질 의장국은 다자주의 위협에 대응하는 국제 기구 개혁과 신흥국의 의결권 증대를 강조하며, 실질적 권한 강화와 거버넌스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회의가 국제 질서 재편 과정에서 브릭스의 협상력이 주목받는 계기가 되겠지만, 회원국 간 이해관계 조정과 실행력 확보가 당면 과제로 남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브릭스는 2026년 인도(India)에서 차기 정상회의를 예정하며, 구체적 경제 협력 강화와 다자기구 개혁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회원국 정상들은 “현실을 반영하는 국제질서 요구가 더는 미뤄질 수 없다”고 공동 목소리를 내며, 글로벌 무대에서 다자주의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상회의가 국제 경제의 균열과 새로운 주권 질서의 부상을 상징한다고 진단하면서, 브릭스 논의의 여진이 당분간 세계 외교 무대의 주요 쟁점으로 남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브릭스#미국#푸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