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과학기술 인재 유출 막는다”…민관, 대책 강화 논의 속도
IT/바이오

“과학기술 인재 유출 막는다”…민관, 대책 강화 논의 속도

송우진 기자
입력

과학기술 인재 유출이 국내 산업의 지속 성장에 중대한 위협 요인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실질적인 대응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한 ‘과학기술인재 유출방지 및 유치 TF’의 세 번째 회의에서는 기술 핵심 인력의 해외 유출을 억제하고, 국내로의 우수 인재 유입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했다. 업계는 이번 논의가 첨단기술 분야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19일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열린 회의에서는 청년 인재의 성장 지원, 일자리 확충 및 처우 개선, 인재의 평생 경력 활용 및 사회적 존중, 해외 인재의 국내 정착 등 네 가지 역점 분야가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그간 두 차례의 TF 회의와 민간위원 간담회를 거쳐 도출된 인재 유출 현황과 정책 과제들이 이번에 중점적으로 공유됐다. TF는 각 분야별로 ‘강화’와 ‘조정’이 필요한 정책 실천 과제를 도출해 현장의 문제 의식과 제도적 미비점을 짚었다.

실제 최근 이공계 인재들의 국내 일자리 감소 및 처우 열악 등이 지속적으로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 AI·바이오·반도체 등 신산업 중심의 글로벌 인재 쟁탈전이 본격화하면서 국내 혁신역량 유출 방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국내뿐 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 등도 우수 과학기술 인력의 유치·정착 정책을 강화하는 추세다.

 

이날 회의에서 구혁채 제1차관은 “과거 IMF 외환위기 시절 이공계 기피 현상이 이공계지원특별법 제정이라는 정책적 마중물이 되었듯, 이번 TF가 마련할 과학기술 인재확보 대책도 오늘날 이공계 인재들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실제 정책 성과로 이어지려면 현장 수요에 기반한 실질적 처우 개선과 인재 존중 문화의 확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TF에서 수렴된 각계 제언과 현장 의견을 심층적으로 검토해 ‘고급 과학기술 인재 확보 전략’을 실효성 있게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와 민간이 머리를 맞댄 이번 대책이 실제 시장과 산학연 현장에 적용될 수 있을지 산업계가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과학기술 분야 인재의 유입과 보호, 육성 정책이 곧 미래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인재#유출방지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