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PQC 기반 인증 특허 확보”…한컴위드, 양자내성암호 상용화 선도 신호
IT/바이오

“PQC 기반 인증 특허 확보”…한컴위드, 양자내성암호 상용화 선도 신호

송우진 기자
입력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한 양자내성암호(PQC, Post Quantum Cryptography) 기술이 정보보호 산업의 변곡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컴위드는 PQC 기반 인증 블록을 활용한 공개키 관리 시스템의 핵심 특허를 등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선정한 차세대 암호 알고리즘을 구현한 것으로, 한컴위드가 글로벌 표준을 준수함과 동시에 실질적 상용화에 나섰다는 점에서 산업적 파급력에 시선이 모인다. 업계는 PQC 경쟁이 본격화되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한컴위드가 등록한 본 특허는 양자컴퓨터로도 해독이 불가능한 PQC 알고리즘을 웹 인증 방식인 JWT(JSON Web Token)와 접목한 것이 핵심이다. 이로써 복잡한 PQC 기반 디지털 인증서의 관리와 적용을 단순화하고, 사용 편의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데 차별화된 방식을 제시했다. 실제로 한컴위드는 해당 특허를 통신 구간 암호화 제품 ‘한컴 엑스커넥트 v4.0’과 데이터 암호화 솔루션 ‘한컴 엑스디비 v5.0’에 적용, 이미 상용화에 성공했다.

기술 신뢰성 측면에서도 존재감이 뚜렷하다. 특허 기술에는 NIST가 채택한 암호 알고리즘이 도입돼 향후 전 세계 산업 표준과의 호환성을 확보했다. 덕분에 국방기술진흥연구소 무인기·무기체계 임베디드 장비용 경량 암호화 연구 등 다양한 영역으로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이처럼 한컴위드의 행보는 글로벌 기술 트렌드와도 맞물린다.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도 PQC 기반 인증·암호 시스템 구축이 정책 과제로 부상 중인 가운데, 한컴위드는 범국가 ‘PQC 전환 마스터플랜’에 대응해 향후 NIST 표준뿐 아니라 한국형 PQC(KpqC) 지원 체계 개발까지 예고했다. 데이터·네트워크·공통 인프라 인증 등 국내 보안 솔루션 전반에도 PQC 기술 적용을 확대할 방침이다.

 

보안 업계 전문가는 “양자내성암호 기술의 상용화가 현실화되면 해킹·데이터 위변조 위험이 급감하고, 정부·금융·국방 등 핵심 인프라의 신뢰도가 대폭 높아질 수 있다”며 “기술 상용화 시점이 국내외 정보보호 시장의 판도를 바꿀 변수로 지목된다”고 분석했다.

 

한편, 한컴위드는 인공지능(AI),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아키텍처와 더불어 PQC를 미래 보안 산업의 3대 축으로 삼고, 추가 연구개발 및 투자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산업계는 이번 특허 기술이 시장에 실제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송우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컴위드#양자내성암호#pq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