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 드라마화 반발→교육계 집단 분노의 파도
웹툰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의 드라마 제작 공식화 소식은 긴장과 갈등의 신호탄으로 다가왔다. 작품 주인공인 교사와 미성년 제자 사이에 오가는 감정선이 현실 무대로 옮겨졌을 때, 그 여운과 파장에 대한 사회적 우려는 쉽게 잦아들지 않았다. 교총과 전교조 등 교원단체는 일제히 목소리를 높이며, 학생과 교사의 관계라는 예민한 경계에 대한 단호함을 예고했다.
공식 발표 직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초등위원회를 비롯한 교원단체들은 드라마 제작을 즉각 중단할 것을 강하게 촉구했다. 이들은 “교육 윤리와 아동 보호 원칙이 훼손됐다”며, 아이들이 제대로 존중받는 학교와 신뢰받는 교육 현장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 중심에는 ‘웹툰이 아닌, 드라마라는 확장된 미디어의 파급력’에 대한 우려가 자리 잡았다.

전교조는, 성인 교사와 초등학생 사이의 감정이나 설렘이 드라마에서 연애 감정으로 변질될 위험성과 함께, 그 과정에서 현실적 감정 몰입이 더해질수록 오해와 왜곡이 확대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교총 역시 ‘교사의 전문성과 도덕성’이라는 직업적 책임을 상기시키며, 아동 보호 원칙이 위협받는 상황을 경계했다.
문제의 뿌리는 웹툰 연재 초기부터 논란이 돼온 교사-초등학생 관계의 설정에 있다. 교사가 게임을 통해 만난 초등학생 제자에게 점차 감정이 쌓여가는 전개와 함께, 독자와 사회는 이 작품의 윤리적 메시지에 꾸준히 의문을 제기해왔다. 특히 드라마화 발표 이후 “현실적 파급력”을 우려한 목소리가 거세졌으며, 포털에서는 원작 웹툰이 삭제되는 움직임까지 이어졌다.
이에 대해 웹툰 원작 작가와 플랫폼 측은 “주인공이 초등학생을 좋아하는 것은 맞지만 연애를 꿈꾸는 이야기는 아니며, 결국 본분을 지킨다는 메시지가 중심”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초등학생’이라는 제목이 반드시 주인공을 구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지만, 교육단체들은 실사화 과정의 해석과 감정 이입 확대에 대한 우려를 거두지 않고 있다.
현재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 드라마화는 기획 공식화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캐스팅 등 구체적 실무는 진행되지 않은 상태다. 여파로 제작사와 방송사를 향한 자체 심의 규정 강화 요구가 빗발치고 있으며, 아동 보호와 교육 윤리의 가치가 문화계 전반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논란이 확산되는 만큼, 사회와 제작사가 어떠한 선택을 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