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7984명 복귀”…복지부, 수련병원 인력 회복 속도전
전공의 인력이 올해 하반기 모집을 통해 크게 복귀하며 의료 체계 정상화에 속도가 붙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수련환경평가위원회가 2일 공개한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에 따르면, 전공의 7984명이 모집 인원의 59.1%에 해당하는 규모로 수련병원에 선발됐다. 올해 6월만 해도 전공의 규모가 예년 대비 18.7% 수준에 머물렀으나, 이번 복귀 조치로 전체 전공의는 1만305명으로 늘며 의·정 갈등 전 76.2%까지 회복된 셈이다. 의료현장은 이를 의료 인력난 완화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연차별로 보면 인턴은 모집 대비 52.0%(1464명), 레지던트는 61.2%(6420명)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수련병원이 63.0%, 비수도권은 53.5%로 집계됐다. 예년과 비교해보면 인턴은 61.8%, 레지던트는 80.4%로 빠르게 복귀 중이다. 특이할 만한 점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등 정부가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 대상으로 지정한 8개 필수과목에서 예년 대비 70.1%의 인력이 충원된 반면, 그 외 과목은 88.4%를 기록했다.
특히 복지부는 기존 수련병원에 동일 과목·연차로 복귀가 가능하도록 초과 정원 한시 허용, 수련 복귀 시 입영(군 복무) 연기, 병원별 자율모집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이런 정책 변화는 필수의료 분야 인력난을 더 실질적으로 개선할 지, 의료계 내 수련 인력 재정착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주요국에서도 임상수련 의사 확보가 보건의료 체계 안정성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 영국 등도 전공의 근무환경 개선,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을 강화하는 추세다. 국내에서도 정부와 의학회, 전공의협의회 간 소통 채널이 활성화되며 이번 복귀가 속도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일부 필수과의 지원율 회복은 여전히 더딘 편이어서, 정부의 수련환경 혁신·공공의료 강화 정책이 실제 인력구조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추가 관찰이 필요하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상당수 사직 전공의가 현장에 돌아오며 의료체계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며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와 의료계는 전공의 복귀 정책이 실질적 구조 전환과 필수의료 강화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