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암 환자 흡연 지속 땐 심근경색 위험 64%↑”…삼성서울병원 연구팀, 대규모 빅데이터로 경고

윤가은 기자
입력

암 진단을 받고도 흡연을 지속하면 심근경색 위험이 무려 64%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대형병원 연구진이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약 27만 명의 암 환자를 장기 추적 조사해 내린 결론이다. 한편 암 진단 후 금연을 실천할 경우 심근경색·뇌졸중 등 치명적 심혈관질환 위험이 크게 줄어드는 사실도 확인됐다. 업계와 의료현장에서는 해당 연구 결과를 ‘암 생존자 관리 패러다임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신동욱·조인영 교수와 숭실대학교 한경도 교수팀은 암 환자 흡연 양상을 네 그룹으로 나누고,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적용해 2010~2016년 진단 전·후 검진을 모두 완료한 환자 26만9917명을 2019년까지 추적 분석했다. 지속적인 비흡연, 암 진단 후에도 계속 흡연, 암 진단 후 금연, 암 진단 뒤 다시 흡연 혹은 처음 시작 등 네 그룹별 심혈관질환(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심부전, 심방세동) 발생률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암 진단 후에도 꾸준히 흡연을 하는 환자는 비흡연자 대비 심근경색 위험이 64%, 허혈성 뇌졸중 61%, 심부전 55%까지 상승했다. 암 진단 뒤 재흡연하거나 처음 담배를 시작한 집단도 심근경색 위험이 53% 높았다. 반면 암 진단을 계기로 금연한 환자는 심근경색 위험이 22%, 심부전은 26% 증가에 그쳤으며, 특히 심방세동은 비흡연군과 거의 차이가 없는 수준으로 위험이 낮아졌다.  

 

특히 이번 연구는 기존 임상 경험적 관찰을 넘어, 국민 건강보험 빅데이터와 장기 추적 관찰이라는 객관적 지표로 객관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흡연은 혈관 손상, 염증, 혈전 발생을 촉진해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데, 암 치료로 심장에 부담이 누적되는 암 환자에게는 추가적인 위험 요인”이라고 해설했다. 기존에는 암 환자 절반 가량이 진단 이후에도 담배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금연 관리의 실효성 논란이 지속돼 왔다.

 

글로벌 암 환자 관리 가이드 역시 암 생존자의 금연을 ‘재발률, 치료 성공률, 심혈관질환 예방’ 세 가지 측면에서 핵심 관리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미국 등 선진국은 암 생존자 금연 상담, 보험 적용 금연치료 등 제도적 지원을 도입하는 추세다.

 

국내의 경우, 암 환자 금연을 위한 의료진 주도형 상담, 금연치료제 처방 지원 등의 현실적 방안과 함께, 데이터 기반 위험 분석 결과가 진료 현장에서 환자 맞춤형 건강관리로 연계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연구팀 역시 “암 환자의 금연은 생존율과 직결된 핵심 관리항목으로 의료기관의 적극적 개입과 정책 지원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논문은 국제학술지 ‘서포티브 케어 인 캔서’ 최근호에 정식 등재됐다. 산업계와 의료계에서는 본 연구가 향후 암 환자 심혈관질환 예방 및 생존자 관리 기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지 주목하고 있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서울병원#암환자#심근경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