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尹정부 선임 한전KPS 사장, 임명 여부 촉각”…정권 교체기 공공기관 인선 혼선
정치

“尹정부 선임 한전KPS 사장, 임명 여부 촉각”…정권 교체기 공공기관 인선 혼선

이소민 기자
입력

한전KPS 사장 임명을 둘러싼 혼선이 장기화되고 있다. 윤석열 정부 당시 선임된 허상국 상임이사가 주주총회에서 사장으로 결정됐으나, 대통령 탄핵 정국과 계엄 논란이 이어지며 장기간 임명 절차가 멈춰섰다. 정권 교체 국면 속 새로 취임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행보에 정치권과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23일 한전KPS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주주총회에서는 허상국 상임이사가 차기 사장에 선임됐다. 그러나 곧바로 터진 탄핵 및 계엄 정국 파장으로 인해 장관 제청 등 공식 임명 절차가 현재까지 중단된 상황이다. 한덕수 대통령 대행 체제에서 산하 일부 공기업 수장은 제청과 임명이 이뤄졌지만, 한전KPS는 반년이 넘도록 사장 교체가 미뤄졌다.

이로 인해 현 김홍연 사장이 임기 만료 이후에도 1년 넘게 사장직을 유지하는 이례적 상황도 이어진다. 한전KPS 노조는 "기관 정상화를 위해 사장에 조속한 제청과 임명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지연에 강하게 항의했다.

 

정권 교체 시점을 맞아 허상국 사장 예정자의 임명을 강행할지, 새 인물로 교체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주총에서 절차가 끝나 인정될 수밖에 없다는 시각과, 새 인사로 재공모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 맞선다"고 밝혔다. 다만 교체 시에는 공모 과정만큼 시일이 오래 걸리고, 주총 결과를 뒤집는 부담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허상국 사장 예정자가 사장 임명 전 사택을 미리 마련했다는 사유로 경찰 수사가 이뤄지는 점도 변수다. 고발인은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사택을 마련한 것은 업무상 배임"이라고 주장하지만, 업계에서는 "관행적이고 허 사장 임명에 반대하기 위한 음해성 문제제기"라는 반박도 제기된다.

 

한편, 문재인 정부 당시 임명된 김홍연 사장이 연임할 가능성도 점쳐지지만, 한전KPS에서는 연임이 없었던 만큼 새로운 선례가 될 수 있어 주목된다.

 

한전KPS 관계자는 "김정관 장관 취임으로 산하 공기업 수장 인선이 조속히 매듭지어질지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와 노동계의 촉각이 곤두선 가운데, 정부가 어떤 결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이소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전kps#허상국#김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