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북한 우라늄공장 오염수 유입 우려 확산”…정부, 3개월 연속 ‘기준치 이하’ 발표
정치

“북한 우라늄공장 오염수 유입 우려 확산”…정부, 3개월 연속 ‘기준치 이하’ 발표

박진우 기자
입력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가 한반도 서해로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해 정부가 9월에도 기준치 이하의 안전 결과를 발표했다. 핵심 조사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잇따라 내놓은 조사 결과에도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는 북측 오염수 유출 가능성을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9월 한 달간 인천 연안, 한강·임진강, 강화 등 서해 인근 7개 지점에서 우라늄 및 중금속 농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수치가 먹는 물 및 환경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고 19일 밝혔다. 세부적으로, 예성강 하구 주변 강화 지역 3개 지점의 우라늄 농도는 0.099∼0.760ppb, 한강과 임진강에서 채취한 2개 지점은 0.054∼0.106ppb, 인천 연안 2개 지점은 1.652∼2.328ppb로 각각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정부가 앞서 7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월별로 실시한 조사 결과와 유사하거나 더욱 낮은 수준으로 나왔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9월 우라늄 농도는 7개 지점 모두에서 7·8월보다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는 “9월 측정 지점에서 우라늄 농도가 7·8월보다 미미하게 낮게 나왔지만 의미 있는 변화로 평가할 정도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중금속 5종 검사 결과 역시 모든 측정 지점에서 환경기준 및 해양환경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가 국내 하천 및 해양으로 직접 유입될 위험에 대해 당장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점을 거듭 밝혔다.

 

한편, 정치권과 환경단체 일각에서는 북측 공장의 구조적 결함이나 예상치 못한 돌발 유출 등 잠재적 위험성을 지속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정기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월별 결과를 국민에게 신속히 알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월간 단위의 모니터링을 지속하며, 관련 수치를 공개해 투명성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국내외 정세 변화나 북한 현지 공장 상황에 따라 추가 대책이 필요할 경우 별도 검토가 이뤄질 전망이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우라늄오염수#원자력안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