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 게이트' 46억원 행방 추적”…김건희 특검, 신한은행·경남스틸·집사 배우자 잇따라 소환
‘집사 게이트’에 대한 정치권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김건희 여사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신한은행, 경남스틸 관계자와 김예성씨의 배우자를 23일 소환하며, 46억원의 자금 흐름과 관련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 소재 특검 사무실에는 정근수 전 신한은행 부행장, 최석우 경남스틸 대표, 그리고 김예성씨의 배우자 정모 씨가 차례로 출석했다. 정근수 전 부행장은 "IMS모빌리티 투자 배경에 김 여사가 있었나", "김예성씨와의 관계가 있나" 등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은 채 조사실로 향했다. 정씨 역시 “남편의 행적”, “차명법인을 통한 46억원 수익 의혹” 등 쏟아진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반면, 최석우 경남스틸 대표는 "정상적인 투자 절차의 일환이었다"며 "김건희 여사를 전혀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에는 JB우리캐피탈 관계자도 추가로 출석할 예정인 가운데, ‘집사 게이트’에 연루된 각 기관 수뇌부 조사가 연이어 이루어지고 있다.
특검이 주목하는 핵심 쟁점은 2023년 IMS모빌리티(옛 비마이카)라는 렌터카업체가 실질적 자본잠식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신한은행, 카카오모빌리티 등으로부터 184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는 점이다. 특검팀은 "투자 주체들이 김예성씨와 김건희 여사의 특수관계를 의식한 이른바 '보험성·대가성' 자금 제공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와 별개로, IMS모빌리티 투자금 가운데 46억원이 이노베스트코리아라는 회사를 통해 흘러 들어갔다. 특검에 따르면 이 자금은 김예성씨로부터 양도받은 IMS모빌리티의 구주(옛 지분) 취득에 쓰였으며, 이노베스트코리아 사내이사 역시 김예성씨의 배우자인 정씨가 단독으로 등재돼 있었다. 이에 대해 "정씨가 사실상 김예성씨의 차명회사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상황이다.
특검팀은 정씨를 상대로 "이노베스트코리아 사내이사 등재 경위, 구주 매각 배경, 46억원 사용처"에 대해 집중 질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특검은 한국증권금융, 카카오모빌리티 등 다른 투자 주체도 잇달아 소환하며 관련 기업들의 입장과 경위를 확인 중이다.
정작 김예성씨는 지난 4월 베트남 출국 이후 행방이 묘연한 상태로, 현재 적색수배 대상에 올라 있다. 수사당국은 김씨가 태국 등 제3국으로 옮겨갔다는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도 집사 게이트 자금흐름과 김건희 여사 연관성을 두고 날선 공방을 벌이는 등 ‘정국 격랑’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향후 특검팀의 추가 소환과 자료 분석 결과에 따라, 수사 방향과 정치적 파급력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